수출 회복 기대하는 정부…해외시각은 '싸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8-21 15: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9개월 연속 마이너스행진 8월 깜짝 반등 기대

  • 해외IB "어려운 대외여건으로 수출 회복 어려워"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역대 최장인 19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기록 중인 한국 수출이 8월 반등할 것이라는 정부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지만 해외에서 시각은 싸늘한 분위기가 여전하다.

한국 수출이 대내외 여건으로 하반기에도 좀처럼 회복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속속 나오고 있는 것이다. 

21일 정부와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이달 들어 10일까지 수출액은 96억96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4% 늘었다.

이로 인해 지난해 1월부터 마이너스를 지속했던 수출이 깜짝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기저효과와 조업일수 증가 덕분이다.

8월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조업일수가 2일이 늘어 수출 실적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8월 일평균 수출액이 12억6000만 달러였던 점을 고려하면 조업일수 증가로 25억 달러 이상 수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지난해 8월의 경우 수출 실적은 391억 달러, 전년 동기대비 -15.1%를 기록했다. 2015년 중 최악의 실적이다. 이는 기저효과로 올해 플러스로 돌아설 확률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실제로 올해 1~7월 월평균 수출액이 약 404억 달러이기 때문에 평균치만 기록해도 마이너스 행진을 끊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정부가 내심 8월 수출 성적을 기대하는 이유다. 

정부 관계자는 "8월의 경우 기저효과, 조업일수 증가 등 일시적 요인으로 수출 개선세를 볼 수 있을 것"이라며 "하반기 수출 여건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해외 투자은행(IB)들은 하반기에도 한국 수출이 어려운 대외 여건으로 좀처럼 회복되지 못할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을 내놓고 있다.

바클레이즈, 시티, 노무라 등은 "글로벌 수요 침체와 주요 수출품목에 대한 가격 하방압력이 지속돼 하반기 중 급격한 모멘텀 반등은 어려울 소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골드만삭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 역시 "미국의 지난 2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부진했던데다 중국의 경기부양책 완화, 유럽의 성장 둔화, 구조적인 글로벌 무역 부진 등으로 수출경기 모멘텀이 하반기에도 개선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최근 급격한 원화 강세로 수출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에 대한 분석도 나왔다. 원달러 환율은 10일 13개월 만에 1100원 밑으로 떨어졌다. 지난 2월 1241원까지 올랐다가 6개월 만에 1100원이 붕괴된 것이다.

이에 대해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는 "연초대비 원화가치가 달러화 대비 5.3% 절상됐지만 엔화 대비로는 11% 절하됐다"며 환율이 수출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이 혼조된 상태"라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