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신통상전쟁 서막]경제수장들 수출현장 러시..보호무역 기세에 수출 ‘빨간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1-02 14: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유일호-인천항, 주형환-평택항 새해 첫 현장방문

1일 인천신항을 찾은 유일호(가운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기획재정부]

2일 평택항을 찾은 주형환(왼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사진=산업통상자원부]


아주경제 원승일 기자 =‘결국 수출이다.’ 새해가 밝자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인천항을,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평택항을 잇달아 방문했다.

올해는 내수 부진에 미국 트럼프 신 행정부 출범, 금리 인상 등 대외적 불확실성까지 겹쳐 경제 여건이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경제수장들이 새해 첫 현장 방문지로 수출항을 찾은 이유는 경기 침체상황을 극복할 돌파구인 수출에 사활을 걸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새해 첫날인 1일 인천신항을 찾은 유 부총리는 “올해 수출이 3년만에 플러스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런 흐름을 가속화하기 위해 무역금융 등 수출지원 확대, 보호무역주의 대응, 해외 인프라 시장 진출 등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부총리는 지난해 1월 경제부총리로 취임한 후 첫 현장 방문지로 수출 전초기지인 경기도 평택항을 찾은 바 있다.

2015년 -8.0%, 2016년 -5.9%(잠정치)를 기록하며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인 수출은 지난해 말부터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수출 증가율이 2.5%로 플러스로 전환됐고, 12월 6.4%로 증가하는 등 26개월 만에 처음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문제는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우려되는 보호무역주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통상 보복 등이 수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유 부총리는 우선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보호무역주의에 대비,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검토하는 등 대응방안을 고심 중이다.

또 올해 미국이 한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할 가능성은 낮게 보면서도 “미국에서 셰일가스 수입을 좀 늘린다든가 해서 대미 경상수지 흑자 폭을 줄이는 노력도 해야 한다”며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유커의 전세기 방문을 무더기로 불허하는 등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통상보복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사드 관련 중국의 진의를 파악하겠다는 입장이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도 2일 새해 첫 현장 방문지로 평택항을 찾아 "올해 연간 수출 플러스 전환, 수출 5000억 달러 회복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주 장관은 특히 내수 중심의 중소·중견기업이 수출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올해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을 전년 대비 5%가량 증가한 2500억달러로 확대하고, 향후 5년간 3만5000개의 중소·중견 내수기업을 수출기업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