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김효곤 기자 hyogoncap@]
작년 연간으로는 2.7% 성장하면서 2년 연속 2%대에 그쳤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4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작년 4분기 GDP는 전분기 대비 0.4% 성장했다.
이는 지난 2015년 2분기(0.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작년 3분기(0.6%)와 비교해 성장률이 0.2%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따라 우리 경제는 2015년 4분기 0.7%를 기록한 이후 5개 분기 연속 0%대 성장에 그쳤다.
작년 4분기 성장률이 둔화된 것은 소비심리 악화로 민간소비 증가율이 낮아지고 그동안 우리 경제를 이끌어 온 건설투자가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민간소비는 전기 대비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작년 3분기(0.5%)에 비해 0.3%포인트 낮아졌다.
정부소비도 작년 3분기 1.4% 증가에서 4분기 0.5% 증가로 오름폭이 축소됐다.
그동안 국내 경제를 떠받쳐온 건설투자는 부동산경기 하락 등의 영향으로 1.7% 줄었다. 건설투자가 감소한 것은 2015년 4분기(-2.4%) 이후 처음이다.
이에 대해 정규일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건설은 장기적으로 이뤄지는 특성이 있어 향후 건설투자가 급격하게 위축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증가폭 자체는 둔화될 것이다"고 말했다.
다만 설비투자의 경우 운송장비와 기계류를 중심으로 6.3% 늘었다. 이는 2012년 1분기(12.2%) 이후 가장 큰 수치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연구개발(R&D) 투자를 중심으로 0.2% 증가했다.
수출은 자동차가 늘었으나 운수 서비스 등이 줄어 0.1% 감소했다. 수입은 원유·천연가스를 중심으로 0.2%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은 기계 및 장비, 전기 및 전자기기 등을 중심으로 1.8% 성장했다. 전기가스수도업은 전기업이 줄어들며 4.3% 감소했다.
건설업은 0.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분기(3.7%)와 비교해 성장률이 크게 떨어졌다.
작년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이 개선된 데 따라 0.6% 증가했다. GDI는 작년 연간으로 4.1% 늘었다.
정규일 국장은 "4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라던 일부의 예상보다는 높은 수준이었지만 전체적인 성장은 좋은 모습이라고 하기 어렵다"면서 "무엇보다 GDP의 절반을 차지하는 민간소비가 위축된 영향이 가장 크다"고 전했다.
이로써 작년 GDP는 전년 대비 2.7% 성장했다.
민간소비는 작년 2.4% 증가하며 지난 2015년(2.2%)보다 높아졌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2015년 3.9%에서 2016년 11.0%로 크게 확대됐다. 반면 설비투자는 2.4% 감소했다.
연간 수출은 1.4% 증가했고, 수입은 3.0%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