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세종 硏 "북한 최고사령부 의사결정조직 책임자는 김설송"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3-13 14: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 북한군 최고사령부 내 의사결정조직인 '선군혁명소조'의 실무책임자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 누나인 김설송(44)이라는 주장이 13일 제기됐다.

연합뉴스는 이날 이윤걸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북한전략정보서비스센터 소장)의 낸 '김정은 시대 북한 핵·미사일 개발 및 명령지휘체계 실태'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고 전했다.

김설송은 김정일과 그의 둘째 부인인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났다. 김정일과 셋째 부인 고용희 사이에서 태어난 김정은과는 이복(異腹) 남매이다.

김설송의 활동이 외부에 공개된 적은 없다. 다만, 여성이라는 점에서 권력 구도에서 배제됐다는 관측과, 상당한 실권이 있다는 설이 엇갈리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선군혁명소조'라는 북한체제 정책부문 최상위 의사결정조직이 이미 김정일의 생전에 최고사령부 안에 만들어져 김정은의 의사결정을 돕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 조직 최고 수장은 명분상 김정은이지만, 조직을 이끄는 실무책임자는 김설송임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앞서 김정은은 아버지 김정일의 사망 직후인 2011년 12월 30일 군 최고사령관에 추대된 바 있다. 이 연구위원은 "김정은이 첫 관직을 이수한 직위가 최고사령관"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김설송은 현재 당중앙위원회 (수석) 부위원장일 것"이라며 "당 조직지도부 부장과 국가정책사업부장의 역할을 맡고,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일 가능성이 크다"는 고 이 연구위원은 전망했다.

아울러 이 연구위원은 2012년 3월 김정은의 시찰로 그 실체가 처음 알려진 '전략로케트(로켓)군사령부'가 이미 2008년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전했다.

2014년 초 전략로켓군사령부가 전략군으로 개편되기 이전까지 확인된 바로는 사령부 총인원이 1만5000명으로, 이 가운데 약 30%인 4500여명이 군 장교나 초기복무사관으로 구성된 북한 내 최대정예병 무력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김정일은 생전인 2009년 이 부대의 비밀유지를 위해 특별보안조치를 승인, 각 분소와 기지가 위장명칭을 사용했으며 당시 사령부가 4개의 독립기지에 9개의 분소로 이뤄졌다고 그는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