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4/20/20170420132002723647.jpg)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미 상공회의소에서 연설하고 있다. 틸러슨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버락 오마바 전 대통령 시절 체결된 '이란 핵 합의'에 대해 '실패'를 선언하고 현 정권 내에서 재검토를 거쳐 유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사진=AP=연합뉴스]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미국이 북한 압박에 속도를 내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부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북한을 '테러 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다시 심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1987년 11월 대한항공(KAL) 민항기 폭파 사건을 일으킨 것과 관련해 1988년 1월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은 집권 뒤 북한과 핵 검증 합의를 하면서 2008년 11월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빼줬다.
만약 북한이 올해 내로 테러지원국(sponsor of terrorism)에 지정될 경우 9년 만에 다시 국제사회에서 공식적인 '테러리스트' 취급을 받게 된다. 미국이 현재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하고 있는 나라는 이란, 수단, 시리아 등 3개 국가다.
이날 틸러슨 장관은 "우리는 과거의 열린 협상과는 다른 입장에서 북한에 문제에 접근하며 북한 정권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모든 방안과 함께 테러 지원국(재지정)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이미 미국 등 국제사회에서 다양한 제재를 받고 있기 때문에 태러지원국 재지정은 실질적인 영향보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띨 것이라는 것이 외신들의 분석이다. 다만 이는 트럼프 정부가 북한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고 현지 언론들은 평가했다.
한편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이날 오바마 정부 시절 체결된 '이란 핵 합의'를 '실패'로 규정하면서 재검토를 하겠다고 밝혔다.
틸러슨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2015년 7월 도출된 이란과의 핵 합의인 '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가 이란의 비핵화 목표 달성에 실패했으며, 이란의 핵보유를 지연시켰을 뿐이라고 비판했다.
일부에서는 이란에 대한 이같은 강경한 입장은 북한과의 협상에서도 미국이 '핵 군축'이나 '핵 동결' 수준에 그치는 합의에는 나서지 않겠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역시 같은 날 북한의 전면적인 핵 포기를 강조했다. 펜스 부통령은 워싱턴포스트(WP) 조시 로긴 칼럼니스트와 일본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과거 정권에서 북한과 협상 및 대화는 모두 실패로 끝났다고 비판했다.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펜스 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아닌 북한의 주요 경제 파트너(중국)와 새롭고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며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말한다면, 모든 옵션은 테이블 위에 있는 것"이라면서 군사적 옵션의 가능성도 배제하지 는 않았다.
펜스 부통령은 "우리는 세계에 북한의 비핵화를 무슨 방법을 통해서든 이뤄내겠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