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업자 116만7000명 중 대졸자 이상은 54만3000명으로 교육 정도 기준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실업자의 절반에 육박하는 46.5%가 대졸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 사람인 셈이다. 고졸자는 45만1000명, 초졸 이하는 9만9000명, 중졸은 7만5000명 순으로 조사됐다. 분기 기준으로 대학 졸업 이상 교육을 받은 실업자가 50만명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증감률을 보면 고졸자만 9.1% 감소했고, 초졸 이하 14.7%, 대졸 이상 9.2%, 중졸은 1.8% 증가했다. 실업률을 보면 초졸 이하가 5.3%, 대졸 이상이 4.4%, 고졸‧중졸은 각각 4.2%, 3.5%였다.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는 실업자는 비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지 않는다. 올해 1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655만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0.1% 감소했다. 고졸이 591만3000명, 대졸 이상 352만8000명, 초졸 이하 372만3000명, 중졸 338만7000명이다.
분기 기준으로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가 350만명을 넘어선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초졸 이하(-1.0%), 고졸(-0.9%), 중졸(-0.3%) 모두 감소했지만, 대졸 이상 학력자만 지난해보다 2.4%(8만3800명) 증가했다. 이른바 '대졸 백수'가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일을 하는 고학력자가 줄어들고 있는 배경에는 일자리의 미스매치가 자리하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 실제 한국은행의 '주요국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도 우리나라 미스매치가 심화되고 있고, 교육 정도로 보면 대졸 이상자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분석한 바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격차로 인해 취업시기가 늦춰지고 있고, 공무원을 준비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층 공시생은 2011년과 비교해 38.9%나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오준범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관련 보고서를 통해 "공시생 증가의 근본 원인은 경제 내 '질 좋은 일자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고, 그 책임은 전적으로 고용창출력을 확보하지 못한 한국사회에 있다"며 "우수한 인재들이 시험준비에 능력을 집중하는 것은 국가적 손실"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