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올해 1분기 세금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조원 더 걷힌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정부 세수 호황기조가 올해도 이어진다.
특히 정부 곳간에 들어오는 돈이 예상보다 많아지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한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에 재원 마련도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가 11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5월호'에 따르면, 올해 1∼3월 국세수입은 69조9000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5조9000억원 증가했다.
정부의 올해 목표 세수 대비 실제 걷힌 세금의 비율을 뜻하는 세수 진도율은 28.8%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정부 국세수입은 전년 대비 24조7000억원 증가,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올해에도 3월에 2조3000억원 더 걷히는 등 1분기에만 세수가 전망 대비 6조원가량 증가하면서 호황 기조가 이어진다.
세목별로 1분기 법인세는 지난해 12월 말 결산법인 실적 개선 등으로 1조4000억원 증가한 17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세수진도율은 31.8%였다.
부가가치세 역시 수입액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7000억원 증가한 16조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세수진도율은 26.7%였다.
소득세는 2월 특별급여 감소 등으로 3월에 4000억원가량 감소했지만, 1분기 누계로는 8000억원 증가한 17조5000억원으로 진도율은 26.6%로 상승했다.
올해 주요 관리 대상사업 281조7000억원 중 3월 누계 집행액은 89조3000억원으로 연간 계획 대비 31.7%가 집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1분기 기준 3조9000억원 적자였고,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사회보장성 기금을 제외해 정부의 실질 재정상태를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는 14조1000억원 적자로 나타났다.
3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609조9000억원이었다.
특히 정부 곳간에 들어오는 돈이 예상보다 많아지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한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에 재원 마련도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가 11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5월호'에 따르면, 올해 1∼3월 국세수입은 69조9000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5조9000억원 증가했다.
정부의 올해 목표 세수 대비 실제 걷힌 세금의 비율을 뜻하는 세수 진도율은 28.8%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상승했다.
올해에도 3월에 2조3000억원 더 걷히는 등 1분기에만 세수가 전망 대비 6조원가량 증가하면서 호황 기조가 이어진다.
세목별로 1분기 법인세는 지난해 12월 말 결산법인 실적 개선 등으로 1조4000억원 증가한 17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세수진도율은 31.8%였다.
부가가치세 역시 수입액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7000억원 증가한 16조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세수진도율은 26.7%였다.
소득세는 2월 특별급여 감소 등으로 3월에 4000억원가량 감소했지만, 1분기 누계로는 8000억원 증가한 17조5000억원으로 진도율은 26.6%로 상승했다.
올해 주요 관리 대상사업 281조7000억원 중 3월 누계 집행액은 89조3000억원으로 연간 계획 대비 31.7%가 집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1분기 기준 3조9000억원 적자였고,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사회보장성 기금을 제외해 정부의 실질 재정상태를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는 14조1000억원 적자로 나타났다.
3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609조9000억원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