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5/23/20170523014046959125.jpg)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은 22일 역사박물관 현판제막식을 가졌다. [사진=경상북도 제공]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은 ‘역사박물관’을 설립하고 22일 개관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영천시 금호읍 원제리 소재 연구원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김장주 도 행정부지사, 한혜련·김수용 경북도의원과 임직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역사박물관 개관으로 연구원은 문화유산조사 전문기관을 넘어 문화재종합연구기관의 면모를 갖추게 됐다.
역사박물관에서는 상설 전시 프로그램으로 신석기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토기의 발전단계를 보여주는 ‘흙 빚음, 문명의 시작’전을 마련했다. 발굴현장의 출토유물 100여 점을 주거지 복원모형과 함께 전시해 시대별 주생활의 변화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원은 박물관을 설립함으로써 문화유산 종합연구기관 도약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게 됐다. 지금까지의 조사·연구, 보존·관리의 기본적 기능에서 문화재의 가치창출 및 활용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은 매장문화재의 체계적인 조사연구 및 출토유물의 보존관리를 위해 지난 1998년 경북도의 출연으로 설립된 공공기관이다. 설립 이후 각종 개발 사업에 따른 조사업무 및 민원해소를 위해 노력해 왔다.
지금까지 대구신서 혁신도시, 경북도청 이전지, 칠곡가산산성, 청도읍성 등 1200여 건의 문화유적조사 수행과 236권의 조사보고서를 발간한 대구·경북을 대표하는 발굴조사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2011년부터 장장 5년에 걸쳐 136명의 집필진이 신라사를 소개한 총30권의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를 발간하고, 후속사업으로 전자책 제작으로 대중화 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등 신라사 연구에 큰 획을 긋기도 했다.
또한 경주 동궁과 월지 주변 정비사업 같은 대형 학술연구용역을 수행 하는 등 다양하고 폭 넓은 연구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에는 도내 공·사립 및 대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화재의 보존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대응방안을 경북도에 건의한 바 있다.
후속조치로 연구원 내 보존처리 시설 및 인력을 활용해 민간조사기관, 박물관 등의 출토유물 및 소장 문화재를 위탁 처리하는 보존처리 지역거점기관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김장주 도 행정부지사는 행사에 앞서 임직원과의 간담회를 통해 연구원의 오늘이 있기까지 노력해 온 직원들의 노고를 격려하고 연구원 발전에 경상북도가 도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함께 토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