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는 10일 울산지방노동위원회 조정회의에서 임금 2.4% 인상 등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노조는 11일 오전 4시로 예정했던 파업을 철회했다.
파업 철회엔 노사가 파업에 따른 후폭풍이 거세게 일거란 지적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울산시가 추경을 통해 이미 예산(버스업계 지원)을 확보하고 있는 상태였고 파업 시 이 추경예산은 물거품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지난 2016년 기준 울산 시내버는 모두 100여 개 노선에 730여 대가 운행 중이다. 하루 평균 이용 승객은 27만3000여 명이다.
울산시의 버스운영지원금(환승요금 포함)은 2016년 246억원에서 2017년 311억원으로 큰 폭으로 늘었지만 버스회사의 경영수지는 나아지지 않고 있다. 승객 감소가 주 원인이라 지원액을 늘려도 적자는 이어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