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남북] 자동차 산업 '위기를 기회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필수 교수
입력 2017-08-22 07: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국내 자동차 산업이 심상치가 않다.

우선 기아차의 통상임금 문제는 다른 분야에 끼치는 영향 측면에서 모두의 관심이 집중된 상황이다. 노조의 손을 들어줄 경우 소급 적용돼 약 3조원의 비용이 더 지불돼야 한다. 최근 기아차의 영업이익률은 3%대로 떨어져 최악의 상태인 만큼 통상임금 문제까지 패소한다면 후반기 시장은 분명히 적자로 될 가능성이 크다.

더욱 큰 문제는 한국GM 철수설이다. 이미 국내 여러 공장 중 군산공장의 위기를 우선 거론하고 있다. 벌써부터 신모델에 대한 주문이 줄어들고 공장이 상당 부분 쉬고 있어서 점차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GM 본사 자체가 글로벌 시장 경영 측면에서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는 공장은 폐쇄하거나 축소시키고 있다. 독일의 오펠이나 호주 홀덴사는 물론이고 유럽에서 쉐보레 브랜드 등 철수 사례는 비일비재하다. 특히 다음 달은 15년 의무 경영 기간도 끝나고 산업은행의 지분 매각 등 다양한 주제까지 겹치면서 한국GM의 위기설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노조파업 결의도 심각한 위협이다. 고비용·저생산 구조에서 무조건적인 노조의 요구는 심각한 국민적 저항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 5개사 중 4개사가 노조파업을 결의해 폭풍전야다.

해외 시장도 좋지 않기는 마찬가지이다. 사드발 중국 시장의 반토막 판매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 현대차 그룹의 중국 시장의 경우, 전년 대비 47% 줄어들어 메이커보다도 동반 진출한 부품기업의 위기는 더욱 커지고 있다. 전통적인 미국 시장의 경우도 7~8% 이상 줄면서 경쟁력 제고가 요구되고 있다.

이렇게 모든 악재가 누적된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과연 살아날 방법은 있는 것인가? 머리를 맞대고 해결방법을 찾아야 하는 시점이다. 

우선 노사분규 문제다. 무리한 요구를 일삼는 노조에 대해 사측에서 땜질 처방으로 매년 받아주다 보니 이제는 경영상의 문제까지 노조가 개입하는 경향이다. 이유 불문하고 노사 양측이 한 걸음 뒤로 물러서야 한다. 정부는 적극 개입해 자동차 분야 노사정위원회 가동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기아차 통상임금 문제는 법적인 최종 단계라 언급하기 힘들다. 다만 최근의 판결이나 법적인 구축이 포퓰리즘에 맞춰 움직이는 듯해 걱정도 되는 실정이다.

또 현대차 그룹의 내부적인 패러다임 전환이 중요한 시점이다. 그동안 지적되어온 각종 내부적인 문제점을 개선해 글로벌 기업에 걸맞은 새로운 시스템으로의 탈바꿈을 기대한다. 

한국GM은 과감한 선언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노조는 파업을 지양하고 한국GM이 살아날 수 있는 결정적인 선언도 해야 한다. 국내 공장이 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품질 제고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두 자릿수로 올려놓는 것이다. 동시에 차종별 연구개발 능력을 보유한 연구개발(R&D) 센터를 두어 안정적인 역할과 모습을 본사에 보여줘야 한다.

정부는 중국이 사드 보복을 하루속히 거두도록 대 중국 설득과 함께 과감한 결의를 보여야 한다. 정부는 사드 보복 기간을 줄이기 위해 대 중국 수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곧 시작하는 한·미 FTA 재협상도 유리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지금의 자동차 산업 위기를 하루속히 해결해 이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슬기롭고 과감한 결단이 이뤄지기를 바란다. 지금이 바로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하는 시기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