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가 내년까지 2%대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올해 수출 호조와 민간소비 회복세가 이어지며 성장률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컸지만, 결국 3%대 벽은 뚫지 못한다는 것이다.
올해 4분기와 내년 상반기의 경우, 경기상승세가 주춤하다 내년 하반기부터 건설투자의 급격한 위축에 기저효과까지 겹쳐 올해보다 경제성적표가 초라해질 전망이다.
2%대 저성장 고착화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중장기 경제역동성 복원정책과 기업투자 활성화, 부동산시장 안정화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9일 ‘2018년 한국경제 전망’에서 우리나라는 올해 상반기 2.8%, 하반기 2.6% 성장해 연간 성장률 2.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6월 전망치(2.5%)보다 0.2%포인트 상향됐다.
연구원은 최근 소비 선행지표인 내구재의 증가세가 높아지고 있어 향후 소비부문은 회복국면에 안착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빠르게 회복되는 수출은 하반기에도 확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3분기 설비투자는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지금껏 높은 증가세가 이어져 향후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 역시 민간‧공공 모두 경기침체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올해 들어 가계‧기업의 경제심리가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최근 경기상황에 대한 비관적 시각이 높아져 낙관적 경제심리가 후퇴했다”고 평가했다.
내년 세계경제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한국경제는 올해보다 성장이 다소 둔화돼 2%대 성장률이 유지될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5%다. 2015년(2.8%) 이후 4년 연속 2%대 성장이다.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건설경기 후퇴다. 연구원은 내년 상반기 건설투자는 0.4% 감소하고, 하반기 0.6% 증가해 연간 0.1%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연간 건설투자 증가율은 지난해 10.7%, 올해 전망치는 5.5%다. 정부의 부동산시장 안정화 의지, SOC 예산 감소, 금리인상 등이 신규 건설수요를 제약하고 있기 때문이다. 설비투자도 4.5%로 올해(10.4%)의 절반 수준 밑으로 떨어진다고 예상했다.
수출은 미국‧유럽 등의 통화긴축과 대중국 교역요건이 악화돼 증가폭 축소가 불가피하고, 민간소비는 증가세가 다소 개선되지만 가계부채‧부동산경기 냉각 등이 확대를 제한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저성장을 탈출하고 3%대 성장 진입을 위해 △중장기적 경제역동성 복원 △기업투자 활성화 기반 조성 △부동산시장 안정 및 SOC투자 유치 △일자리 질적 개선 및 사회안전망 구축을 통한 장기적인 고용안정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주 실장은 “내년 성장률은 올해보다 낮아질 것”이라며 “세계 경기의 완만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한국경제는 건설투자 하방리스크 확대 등으로 2% 중반 수준의 성장률이 나타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올해 4분기와 내년 상반기의 경우, 경기상승세가 주춤하다 내년 하반기부터 건설투자의 급격한 위축에 기저효과까지 겹쳐 올해보다 경제성적표가 초라해질 전망이다.
2%대 저성장 고착화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중장기 경제역동성 복원정책과 기업투자 활성화, 부동산시장 안정화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9일 ‘2018년 한국경제 전망’에서 우리나라는 올해 상반기 2.8%, 하반기 2.6% 성장해 연간 성장률 2.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6월 전망치(2.5%)보다 0.2%포인트 상향됐다.
연구원은 최근 소비 선행지표인 내구재의 증가세가 높아지고 있어 향후 소비부문은 회복국면에 안착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빠르게 회복되는 수출은 하반기에도 확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3분기 설비투자는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지금껏 높은 증가세가 이어져 향후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 역시 민간‧공공 모두 경기침체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올해 들어 가계‧기업의 경제심리가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최근 경기상황에 대한 비관적 시각이 높아져 낙관적 경제심리가 후퇴했다”고 평가했다.
내년 세계경제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한국경제는 올해보다 성장이 다소 둔화돼 2%대 성장률이 유지될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5%다. 2015년(2.8%) 이후 4년 연속 2%대 성장이다.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건설경기 후퇴다. 연구원은 내년 상반기 건설투자는 0.4% 감소하고, 하반기 0.6% 증가해 연간 0.1%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연간 건설투자 증가율은 지난해 10.7%, 올해 전망치는 5.5%다. 정부의 부동산시장 안정화 의지, SOC 예산 감소, 금리인상 등이 신규 건설수요를 제약하고 있기 때문이다. 설비투자도 4.5%로 올해(10.4%)의 절반 수준 밑으로 떨어진다고 예상했다.
수출은 미국‧유럽 등의 통화긴축과 대중국 교역요건이 악화돼 증가폭 축소가 불가피하고, 민간소비는 증가세가 다소 개선되지만 가계부채‧부동산경기 냉각 등이 확대를 제한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저성장을 탈출하고 3%대 성장 진입을 위해 △중장기적 경제역동성 복원 △기업투자 활성화 기반 조성 △부동산시장 안정 및 SOC투자 유치 △일자리 질적 개선 및 사회안전망 구축을 통한 장기적인 고용안정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주 실장은 “내년 성장률은 올해보다 낮아질 것”이라며 “세계 경기의 완만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한국경제는 건설투자 하방리스크 확대 등으로 2% 중반 수준의 성장률이 나타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