켐코는 아연, 납, 은, 인듐 생산량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고려아연의 자회사로, 고려아연의 비철금속 제련사업 노하우를 활용해 연간 생산량 2만톤의 공장을 건설, 2018년 3월부터 황산니켈을 생산할 계획이며 수년 내 8만톤으로 증설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켐코의 지분을 취득함에 따라, 2018년 중순부터 황산니켈을 우선공급 받게 된다. 이에 수급 안정성을 갖추어 향후 배터리 원재료 공급부족 현상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황산니켈은 배터리의 4대 핵심원재료(양극재,음극재,전해액,분리막)중 하나인 양극재의 주요 원재료로, 고용량 리튬이온배터리의 경우 양극재 내 비중은 80%에 이른다.
이에 지난해 t당 9000달러를 하회하던 니켈의 가격은 전기차 수요증가에 대한 기대심리, 글로벌 경제성장의 가속 등에 힘입어 현재 35%이상 오른 1만2000달러를 넘어섰다. 향후에도 수요증가로 인한 가격상승과 공급부족현상은 지속될 전망이다.
LG화학은 원재료의 안정적 수급과 더불어 양극재 설비 또한 2020년에는 현재의 3배 수준으로 증설할 계획이라고 최근 밝힌 바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향후 성장이 본격화되는 전기차 시장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현재 1조 7천억 원 수준인 전기차 배터리 매출을 2020년 7조원 규모로 늘리는 등 확고한 일등으로 자리매김 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