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개인의 내구소비재 신용카드 사용금액은 8월 2조7741억6500만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1% 증가했다. 개인의 전체 신용카드 사용액 증가율(9.5%)보다 컸다.
앞서 7월 내구소비재 신용카드 사용금액도 3조1484억15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10.2% 늘어나면서,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개인의 내구소비재 카드사용액 증가율은 2월 12.8%에서 3월 0.8%로 대폭 축소됐으며 4월에는 -0.4%로 더 떨어졌다. 이후 5월 5.4%로 증가율이 확대됐지만, 6월에는 다시 마이너스(-4.3%)로 꺾였다.
품목별로는 국산 신차의 증가율이 7월 7.1%, 8월 33.3%로 두드러졌다. 기타운송수단 판매도 7월(21.9%), 8월(19.9%)로 2개월째 20% 안팎의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 내구재 소비 증가율도 확대되는 모양새다
통계청에 따르면 내구재 소매판매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을 6월 1.6%, 7월 11.7%, 8월 6.1%로 조사됐다. 지난해 6월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이 종료된 이후 하반기 승용차 소비가 줄어든 데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된다.
그러나 비단 기저효과 때문만이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내구재는 소득, 경기에 탄력적으로 반응하는 품목으로, 경기가 예상보다 양호한 점이 내구재 소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전했다.
소득과 상관 없이 필수적으로 소비해야 하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와는 성격이 다르다는 것이다.
내구재 소비 증가세는 더 이어지는 추세다. 통계청 내구재 소매판매 증가율은 9월 20.8%로 2010년 8월(26.2%)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품목별로는 승용차(22.7%)와 가전제품(15.4%), 통신기기 및 컴퓨터(26.0%), 기타내구재(24.2%) 등 대부분 내구재 소매판매가 대폭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