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무형문화재 제133호로 지정된 '김치 담그기' [사진=문화재청 제공]
한국인의 정체성이 드러나는 공동체 음식문화 '김치 담그기'가 국가무형문화재가 됐다.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김치 담그기'를 국가무형문화재 제133호로 지정했다고 15일 밝혔다.
문화재청 측은 "김치 담그기는 201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동록된 '김장문화'보다 폭넓은 개념으로, 각 지역의 특색 있는 김치와 그 문화도 함께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은 △역사적으로 상당기간 한국문화의 중요한 구성요소라는 점 △협동과 나눔이라는 공동체 정신이 담겨있고 현대 사회까지 지속된다는 점 △자연과 인간이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는 전통지식을 담고 있는 점 △세대 간 전승에 모든 한국인들이 직간접적으로 동참하고 있다는 점 등이 높이 평가된 데 따른 것이다.
다만, 김치 담그기는 고도의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기보다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전승되는 생활관습이자 문화라는 점에서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한편 문화재청은 김치 담그기에 관한 학술 연구와 기록화 사업 등을 펼쳐 그 가치를 공유·확산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