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는 30일 수년에서 수십 년까지 묵었던 대형 난제들 가운데 최근 완전히 해결됐거나 난맥을 풀어 정상화한 3개유형의 주요 장기지연 사업 처리결과를 공개했다.
이들 3개 유형의 장기지연 사업 중엔 외부에서 넘어온 것이 적지 않고, 민간에서 추진하다 좌초될 뻔한 것도 있다. 재정악화로 장기간 고착상태에 있던 사업은 시의 재정이 안정돼 우선순위에 따라 추진된 것도 있다.
첫 번째 유형으로 외부에서 떠안은 대형 난제들이 많았는데 △용인테크노밸리 조성 △지방도 321호선 확장 △기흥호수공원 조성 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용인테크노밸리는 2007년 동탄2신도시를 건설하던 정부가 기업종합대책으로 내놓은 덕성산업단지로 시작됐다. 하지만 시행사인 LH공사가 재정악화로 2009년 6월 사업을 포기해 용인시가 떠맡게 됐다. 이후 5차례에 걸쳐 민간사업자를 공모했으나 나서는 곳이 없었다. 시는 한화도시개발과 공동사업을 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급진전시켰다. 용인시가 ㈜경기용인테크노밸리에 지분 20%를 투자해 공신력을 높이면서 용지분양이 순조롭게 끝나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42번국도~에버랜드 간 지방도 321호선 확장공사는 경기도가 용인시에 넘긴 뒤 약속한 지원을 미뤄 장기 지연됐다. 2002년부터 왕복 2차선 도로를 4~6차선으로 확장하던 경기도는 7.16km 가운데 6.34km를 확장하고 2007년 2월 사업을 용인시에 이관했다. 그러나 재원부족을 이유로 약속한 지원을 계속 미뤘고, 이 때문에 선봉사앞~42번국도 사이 0.82km는 심한 정체를 빚었다. 이에 시는 수차례 도를 찾아가 사업비 배정을 요청했고, 2015년엔 도의원들을 초청해 현장설명까지 했다. 이를 통해 2016년 70억원을 받아 사업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기흥호수공원 조성은 2004년 용인시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함께 생태공원 조성에 나섰던 농어촌공사가, 정부의 수익사업 불가 방침에 따라 빠지며 시가 전체를 떠안게 된 사업이다. 시는 자체 예산으로 2.6km의 자전거도로를 겸한 산책로와 조정경기장, 생태학습장은 조성했으나 재정난으로 이후 모든 사업을 중단했었다. 하지만 인근 350만 시민의 휴식공간으로서 기흥호수의 필요성이 급부상함에 따라 농어촌공사를 설득해 지난 7월 양해각서를 다시 체결하고 호수공원 조성에 나섰다. 시는 특히 최소예산으로 최단시간 내 시민들이 호수공원을 즐길 수 있도록 연말까지 순환산책로 조성을 완료할 방침이다.
두 번째 유형인 얽히고 설킨 민간사업들로 이해관계나 자금난 등으로 미궁에 빠지는 경우가 적지 않은 상태였다.
대규모 상업지역을 개발하는 역삼구역 도시개발사업은 학교부지 위치를 놓고 조합과 공원부서, 교육지원청 등이 대립해 더이상 진척이 안됐다. 자칫 수천 명의 조합원과 이해관계자들이 사업지연으로 피해를 볼 상황이었다. 이에 시가 적극 중재에 나서 조합에 대안을 내도록 요구했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지원청과 공원부서 사이에서 의견을 조율했다. 시의 중재로 신뢰가 형성되면서 각 주체들은 긍정적 해결책을 모색하게 됐고 결론에 도달했다. 역삼구역은 이후 사업이 급진전돼 내년부터 본격적인 흙깎기와 기반시설 설치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다.
신봉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사업비 부족으로 법적 마무리를 못해 재산권 행사를 못하던 3145세대를 시가 구제했다. 이곳은 민간주도의 개발이 2004년 시작돼 2010년에 아파트 입주까지 마친 상태였다. 그러나 팔아서 기반시설 조성에 쓰려고 남겨둔 토지(체비지) 가격이 급락해 사업비를 충당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기반시설을 조성하지 못해 환지처분이 지연되면서 전 세대가 등기를 못하고 있었다. 이에 시는 해당토지의 용적률을 높여주는 등의 조치로 이를 풀었고, 덕분에 주민들은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세 번째 유형은 많은 사업들이 자금난으로 중단되곤 했는데, 용인시는 이런 상황에서 자체적으로 자금난을 풀고 다른 사업들까지 정상화시켰다.
용인시를 자금난에 휘말리게 한 대표적인 사업이 2010년 용인도시공사가 시작한 역북지구 도시개발사업이다. 역북지구는 2011년부터 택지분양을 했으나 경쟁력 부족과 경기침체로 미분양이 3년간 이어졌다. 이 때문에 도시공사의 부채가 5544억원까지 치솟아 시의 재정까지 악화됐다. 이에 시는 2014년 7월부터 시장이 앞장서서 건설업체들을 설득하며 세일즈에 나서 토지의 매력을 높이려고 용적률이나 분양가도 조정해줬다. 이런 식으로 역북지구 토지를 모두 팔아 도시공사 경영을 정상화했고 시의 재정도 안정시켰다.
정찬민 시장은 “장기간 미결된 많은 난제들은 대부분 누군가가 책임을 지고 나서야만 풀 수 있다”며 “시정 전반을 정상화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설거지하는 자세로 나섰는데, 일선에서 불철주야 열심히 뛴 직원들 덕분에 이러한 성과를 낼 수 있었다 ”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