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2/02/20171202114606609490.jpg)
국토교통부는 4일 국토교통 일자리 협의체를 구성해 첫 회의를 열고 '국토교통 일자리 로드맵' 수립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국토교통 일자리 로드맵은 국토부가 향후 5년간 일자리 정책의 구체적 목표와 세부 추진계획을 담은 것으로 내년 3월에 확정·발표된다.
협의체는 김현미 국토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국토교통 분야와 경제, 산업, 고용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본 회의와 6개 분과회의에 총 30여명의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다.
국토부는 협의체를 통해 지난 10월 18일 일자리위원회에서 발표한 범부처 '일자리 5년 로드맵' 상의 소관 과제에 대한 구체적 추진방안을 마련하고, 추가적 일자리 정책을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국토교통 일자리 로드맵 수립방향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진다. 위원들은 지역 일자리 창출 기반 약화, 신산업 등의 성장 정체, 기존 산업의 경쟁력 약화, 건설·운수업의 열악한 고용여건 등을 국토교통 일자리의 주요 문제점으로 진단한다.
국토부는 향후 △지속 가능한 지역 일자리 창출 기반 마련 △신산업 창출 등 혁신성장 동력 확대 △국토교통 산업의 열악한 고용 여건 개선 △국토교통 공공부문 일자리 확충 및 개선 △일자리 창출 인프라 구축의 관점에서 추진방안을 구체화해 나가기로 했다.
김현미 장관은 "국토부가 지역 일자리 기반 조성과 산업구조 개선을 통해 소득주도 성장을 지원하고, 신산업 육성과 기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혁신성장을 견인해 '일자리 인프라'를 구축하는 부처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