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경기도·서울대공원, 국내 최초 GPS 통해 재두루미 이동경로 확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의정부)최종복 기자
입력 2017-12-06 10: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경기북부청제공]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 내 야생동물구조센터는 서울대공원과 함께 국내 최초로 GPS를 이용해 재두루미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재두루미’는 멸종위기종 2급이자 천연기념물 203호로 연구가치가 큰 동물로서, 인공위성 추적장치(GPS)를 활용해 이동경로를 연구한 사례가 이번이 국내 처음이라는 데 그 의의가 크다.

이번에 이동경로를 추적한 재두루미는 지난해 3월 남양주에서 탈진상태로 구조됐던 개체로, 집중치료를 통해 건강을 회복한 후 4월 10일 평택 진위천에서 GPS장치와 인식표 역할을 할 KO1가락지를 부착해 방사했다.

해당개체에 부착된 추적장치는 가로 3.8cm, 세로 6.6cm, 두께 1.4cm, 무게 30g의 초소형 기기로, 약 20만개의 위치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등 정밀하게 탐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택에서 다시 날갯짓을 시작한 재두루미는 같은 날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에 도착해 약 2주간을 머무른 뒤, 4월 24일 그곳을 떠나 북한을 거쳐 다음날 4월 25일에 러시아 연해주 칸카(Ханка)호수 남부에 도착했다.

약 6개월 동안 러시아 칸카호와 달네레첸스크(Дальнереченск)에 둥지를 틀었던 재두루미는 지난달 21일 칸카호를 출발해  24일 강원도 철원으로 되돌아왔다.

이후 DMZ 습지, 민간인통제지역 내 농경지와 4개 저수지, 한탄강 잠자리 등을 광범위하게 이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철원에서 겨울을 보낸 재두루미는 지난 3월 16일 다시 북상을 시작해  20일부터 러시아 번식지인 칸카호에서 약 7개월을 머물다 지난달 24일 또 다시 철원 비무장지대로 돌아와 현재 이 재두루미는 철원 일대에서 월동중이다.

연구진은 지난해 4월부터 현재까지 약 2년간 2회의 걸친 재두루미의 이동경로와 번식지 추적연구를 통해 이들의 1,000km에 이르는 이동생태를 파악하고 중간 기착지 등의 재확인 과정을 거칠 수 있었다.

또한 해마다 비슷한 경로로 한반도와 연해주를 오고가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임병규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야생조류 이동생태 연구를 통해 베일에 가려진 야생조류 이동경로를 파악해 나가겠다”며 “이를 통해 멸종위기 야생조류의 보전의 디딤돌을 마련하고, 더불어 AI 방역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