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발생 장소로는 주거시설 중 공동주택 412건(17.6%), 단독주택 254건(10.8%) 발생했으며, 비 주거시설 중에는 산업시설(공장, 창고 등) 392건(16.7%), 생활서비스(음식점, 오락시설 등) 297건(12.7%), 차량 252건(10.7%) 순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2/08/20171208080709104395.jpg)
관련사진(공동주택화재 장면)[사진=인천소방본부]
또한, 인명피해는 총134명으로 사망 22명, 부상자 112명이 발생했고, 주거시설에서 67명(50.0%), 생활서비스 27명(20.1%), 판매․업무시설 13명(9.7%), 산업시설 11명(8.2%) 순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화재 원인으로는 부주의 986건(42.0%), 전기적요인 684건(29.2%), 기계적요인 335건(14.3%), 방화 및 방화의심 104건(4.4%), 기타 미상 순이며, 부주의 화재로는 담뱃불 292건(29.6%), 불씨․불꽃, 화원방치 179건(18.2%), 음식물 157건(15.9%) 용접,절단,연마 82건(8.3%), 가연물 근접방치가 78건(7.9%), 쓰레기소각 67건(6.8%), 불장난 26건(2.6%), 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절기 상 일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대설로 접어들었고, 추워진 날씨로 난로, 전기장판 등 난방기구 사용이 증가 추세에 있으므로 시민 모두가 화재예방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 줄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