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기관이 각 4억 원씩 총 예산 8억 원으로 시작하는 행복교육지구사업은 주입식 경쟁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교사, 학부모, 주민 등 교육주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토대로 마을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미래인재를 육성해 나가는 것이다.
주요 협약내용을 보면 △민·관·학의 지속적인 협력 체계 구축 △지역 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지역의 특성과 전통․문화를 살린 맞춤형 교육 체계 구축 △청주행복교육지구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재정확보와 행정적 지원 등이다.
청주시는 지난해 10월 행복교육지구 사업 참여를 확정짓고, 서울 도봉구, 경기 시흥, 강원 원주 등 다양한 모범사례를 수집하는 한편 청주교육지원청에 담당 공무원을 파견하는 등 사업추진을 위한 사전 노력을 기울여 왔다.
행복(혁신)교육 추진과 관련해서는 서울, 경기 지역 15개 기초단체에서 해당 조례를 제정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충북도내 11개 지자체를 포함, 전국 10개 광역단체에 98개의 혁신(행복)교육지구가 운영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