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징문 조감도[사진=상주시 제공]
상주는 1018년 상주목(牧) 설치이후 200여년간 경상감영이 있었던 경상도의 중심도시로서 고려시대 목(牧)은 중앙기관과 직결되는 최상위 지위를 가진 지역으로 조선시대 감영이 설치되기까지 영남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한 역사적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도시다.
올해는 상주목(牧) 설치 천년을 맞이하는 뜻 깊은 해로 임란, 일제강점기 등을 거치며 훼손된 도시의 역사적 상징성을 회복한다는데 이 사업의 의미가 크다.
상주 상징문은 2015년 수립된 상주 문화융성 기본계획을 토대로 상주의 정체성 확립과 고도로서의 이미지 쇄신이 필요하다는 시민들과 각계각층의 요구로 추진하게 됐다. 또 상주시 홈페이지, 서문거리 등에서 상징문 형태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를 통해 옛 상주읍성의 남문(홍치구루)을 모티브로 한 현재의 모습을 선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