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이클릭아트]
국내 만 1~3세 어린이 예방접종률이 향상되고 있다. 평균 94%로 이는 미국이나 호주 등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기준 국내 연령별 예방접종률을 24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연령별 예방접종률은 생후 12개월(2016년생) 96.6%, 생후 24개월(2015년생) 94.1%, 생후 36개월(2014년생) 90.4%다. 모든 연령대에서 2016년과 비교해 0.4~1.4%p(포인트) 높아졌다.
이러한 수치는 국가 예방접종률 현황을 공개하고 있는 미국과 호주, 영국 등 해외 주요 국가와 비교했을 때 2~9%p 높은 수준이다.
연령증가에 따라 낮아지는 접종률은 접종횟수가 늘어남에 따른 것으로, 전년도와 동일한 추세를 보였다.

[표=연령에 따른 국가 예방접종 종류]
17개 시‧도지역 예방접종률은 생후 12개월이 94.9%~98.1%, 생후 24개월 92.3%~95.7%, 생후 36개월 88.9%~93.2%로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올해 추가로 공표한 폐렴구균(PCV)백신 접종률은 96.8%로, 국가예방접종으로 무료지원되기 전 79.2%보다 17%p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질본은 어린이 예방접종률이 높은 이유에 대해 2014년부터 보건소뿐 아니라 민간의료기관을 무료접종기관으로 확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접종시기가 도래하거나 지연 시 보호자에게 개별 메시지를 안내하는 것도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초등‧중학교 입학 시 접종여부를 확인하고, 미접종자에게 접종을 독려하는 등 예방접종관리강화와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도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이번 통계결과는 2014년부터 2016년에 출생한 전국 129만명(행안부 주민등록인구기준) 전원을 대상으로 했다. 또 지난 6월 30일 시점으로 질본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접종기록을 분석해 산출했다.
공인식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장은 “높은 예방접종률은 단체생활에 의한 유행을 막을 수 있는 집단면역 보호체계를 갖췄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저소득층, 다문화 가족 등 취약계층의 접종현황과 백신거부, 지연자 등 미접종 사유조사를 통해 관리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질본은 만 12세 이하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을 전액 무료로 지원한다. 무료접종이 가능한 의료기관은 예방접종도우미 (https://nip.cdc.go.kr) 홈페이지(스마트폰 앱)에서 확인 가능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