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야 팬틱 삼성 케임브리지 AI센터 교수 “인간 중심 AI 기술 지향할 것”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런던(영국)=유진희 기자
입력 2018-09-06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올 5월 AI센터 개소, 혁신적 연구로 차별화된 가치 전달

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의 플리트 플레이스(Fleet Place)에 위치한 삼성 유럽디자인연구소에서 마야 팬틱 삼성전자 케임브리지 AI(인공지능)센터 교수가 삼성전자 AI 연구방향과 비전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마야 팬틱 삼성전자 케임브리지 AI(인공지능)센터 교수가 “인간 중심 AI 기술 지향할 것”이라며, 삼성전자 AI 연구방향과 비전에 대해 밝혔다.

팬틱 교수는 영국 런던에 있는 케임브리지 AI센터의 핵심 연구진이자 현지 명문대학교인 임페리얼의 교수로 얼굴•행동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AI의 대가로 꼽힌다.

마이크로소프트 케임브리지 연구소장을 역임한 앤드류 블레이크 박사 등과 함께 지난 5월 문을 연 케임브리지 AI센터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의 플리트 플레이스(Fleet Place)에 위치한 삼성 유럽디자인연구소에서 만난 팬틱 교수는 “케임브리지 AI센터는 삼성의 다른 AI센터와 함께 인간 중심의 AI 기술을 보다 심도 있고 혁신적으로 연구하고 있다”며 “삼성의 다양한 제품들이 보다 사용자들의 삶에 편리함을 주고 삼성전자의 미래사업 발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AI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며 “삼성전자는 다양한 분야의 가전과 IT(정보기술)제품을 통해 축적한 사용자 이해를 바탕으로 AI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오는 2020년까지 모든 IoT(사물인터넷) 기기에 AI를 적용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가 기존 22개 해외 연구소와는 별도로 한국을 포함 미국(실리콘밸리), 영국(케임브리지), 캐나다(토론토), 러시아(모스크바) 등 기반 기술과 인재가 풍부한 5개 지역에 최근 AI센터를 설립한 이유다.

팬틱 교수는 삼성전자의 AI 선행연구의 5대 슬로건도 소개했다.

그는 “철저하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저 센트릭(User Centric·사용자 중심)’, 지속적으로 학습해 성능을 높이는 '올웨이즈 러닝'(Always Learning), 멀티디바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지원하는 '올웨이즈 데어'(Always There), 사용자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도움이 되는 '올웨이즈 헬프풀(Always Helpful), 안전과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올웨이즈 세이프'(Always Safe)가 삼성전자 AI의 미래”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케임브리지 AI센터가 주력하는 분야는 ‘감정 인식’ 분야다.

팬틱 교수는 “인간처럼 통신하는 기술은 사람의 음성과 표정 등 다양한 표현을 즉각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러한 표정은 인종과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 등에 따라서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모든 데이터가 복합적으로 결합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케임브리지 AI센터가 △AI가 사람처럼 이해하고 상호 통신할 수 있는 ‘휴먼 라이크 커뮤니케이션(Human-like Communication)’ △헬스 케어 △적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해할 수 있는 '머신 러닝' △클라우드 없이 디바이스 자체에서도 AI가 구현되도록 하는 '온 디바이스 AI(On-Device AI)' 등 4가지의 큰 테마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고 있는 배경이다.

팬틱 교수는 “이 같은 기술이 실제 적용되면 사용자의 표정만으로도 기기가 어떤 명령을 수행하길 원하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며 “헬스 케어의 예를 들면 노인들이 삼성전자의 제품을 사용할 때 치매나 우울증 등의 질환에 걸릴 사전 징조를 분석해 본인과 가족들에게 전달해 적절히 대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팬틱 교수는 삼성 AI센터만의 장점도 언급했다. 특히 케임브리지 AI센터는 영국의 유명 대학들과 공동 연구 프로젝트, 인력•설비 등 연구 인프라상호 교류, 연구과제 지원 등 다양한 형태로 상호 협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학계의 환영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팬틱 교수는 “대부분 산학협력이 기업들의 인재 재능 뺏기로 귀결된다”며 “그러나 삼성전자는 시설 공유와 프로젝트 협력, 박사 과정 지원 등을 통해 대학과 ‘윈윈’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자사 해외 AI센터들이 각각 최대한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연구 분야를 선정하고 상호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조율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은 총괄, 케임브리지는 ‘감정 인식’, 토론토는 ‘시각인식’, 실리콘밸리는 ‘음성인식’ 모스크바는 ‘기초‧원천 기술’이 주력 연구 분야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