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실시한 ‘2019년 중소기업 경기전망 및 경영환경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기전망지수(SBHI)는 전년도 전망지수 대비 9.5p 하락한 83.2로 나타났다.
제조업은 전년 전망대비 8.4p 하락한 83.7, 비제조업은 전년 전망대비 10.2p 하락한 82.9를 기록했다. 1년 전 경기전망보다 부정적인 전망이 증가했다.
전년에는 새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했으나 올해는 경기부진과 급격한 경제정책에 대한 실망감으로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9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2.5%로 전망했다.

연간 중소기업 업황전망 SBHI추이.[그래프= 중기중앙회]
또한 중소기업인들은 2019년 국내경제에 대해 10명 중 4명은 ‘나빠질 것이다’(39.0%)라고 응답했다. ‘좋아질 것이다’(6.6%) 응답보다 무려 5.9배가 많았다. ‘비슷할 것이다’는 54.3%로 나타났다.
국내경제가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한 요인은 ‘정부의 최저임금인상, 근로시간단축 등 급격한 경제정책’(65.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기업규제 및 기업부담 가중정책’(63.0%)과 ‘미중 무역전쟁 영향’(29.5%)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의 새해 경영목표에 대해선, ‘적정이윤 확보 등 내실경영’이 67.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생존우선‧투자축소 등 보수적 경영’(18.7%), ‘투자확대‧해외진출 등 공격적 경영’(7.5%), ‘신사업‧신기술 도입 등 혁신경영’(5.9%) 순으로 조사됐다.
2019년 가장 큰 경영애로로는 과반수 이상이 ‘내수부진’(57.9%)과 ‘인건비상승’(52.5%)을,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경제정책으로는 ‘내수 활성화 정책’(66.0%)을 압도적으로 꼽았다. 중소기업이 전망하는 내년도 예상환율은 1144.70원, 채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환율은 1128.9원으로 나타났다.
2019년 중소기업 경영환경을 전망한 사자성어에는 ‘중석몰촉’(中石沒鏃)이 제시됐다. ‘중석몰촉’은 쏜 화살이 돌에 깊이 박혔다는 뜻으로, 정신을 집중해서 전력을 다하면 어떤 일에도 성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불확실성이 크고 어려움이 예상되는 2019년 경영환경을 강한 의지로 전력을 다해 극복해 나가겠다는 중소기업인들의 의지표명으로 판단된다.
또한 2018년 경영환경으로는 매우 위태롭고 어려운 지경을 뜻하는 ‘백척간두(25.8%)’가 선택됐다.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내년을 보는 우리 중소기업인들의 전망이 어둡지만, 늘 그래왔듯이 이 위기 또한 잘 극복해 낼 것”이라며 “중소기업인들이 전력을 다하는 만큼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중소기업의 혁신 활동을 독려하고, 기업가 정신을 북돋울 수 있도록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