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노사가 함께 일구는 ‘광주형 일자리(노사상생형 일자리)’가 새로운 상생형 일자리 모델로 극적인 첫 삽을 뜰 수 있었던 데는 끈질긴 뚝심으로 물밑협상을 주도한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의 노력이 컸다.
정 수석은 문재인 대통령이 각별한 관심을 보였던 광주형 일자리 협상 타결을 위해 지난 해부터 광주를 쉴 새 없이 오가며 물밑에서 광주시와 현대자동차, 지역 노동계 간 입장 조율을 해왔다.
그는 지난 2017년 5월 문 대통령 당선 직후 청와대 정책기획비서관에 임명된 뒤 지난해 6월 일자리 수석으로 승진 임명됐다. 여기에는 비서관 시절부터 광주형 일자리를 챙겨온 정 수석에게 힘을 실어주겠다는 대통령의 강한 의지가 담겼다.
지난해 12월 성사 직전까지 갔다가 막판에 무산되자, 정 수석의 마음은 바짝 타들어 갔다.
정 수석은 최근 ‘유시민의 알릴레오’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해 ‘일자리수석 맡은 것을 후회하지 않나’는 질문에 “제가 언론 인터뷰를 하며 ‘일자리가 있으면 지옥이라도 가겠다’고 했는데, 지옥에 가기 전에 죽을 것 같다”며 그간의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막판 물밑 협상을 위해 신발끈을 바짝 죄었다. 지난 연말 광주를 오간 것만 수 차례다. 내년 총선에 출마할 동료 수석들이 청와대를 떠날 때도 정 수석은 청와대에 남아 ‘내 손으로 광주형 일자리 협상을 매듭짓겠다’며 이를 악물었다.
‘35만대 생산까지 단체협약을 유예한다’는 조항에 지역 노동계는 강하게 반발했다. 노동계에 신뢰를 안기는 게 절실했다. 정 수석이 아이디어를 냈다. ‘노사 합의로 임금 및 근로조건을 결정하도록 하는 근로자참여법 등을 보장한다’는 문구를 포함시키자고 중재한 것이다.
결국 지난 달 30일 지역 노동계가 이 조항을 수용하면서 협상이 가까스로 타결될 수 있었다.
문 대통령은 곧바로 다음날 광주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에 한달음에 달려갔다. 문 대통령은 남부 지방에 눈이 내려 기상이 악화되고 있었지만, 그날 오후 불과 35분동안 진행될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헬기를 타고 광주로 향했다. 1등 공신 정 수석이 문 대통령과 동행했다.
문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오랫동안 기다려온 소식이다. 4년 반 동안의 끈질긴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고 크게 반가워하면서 “광주형 일자리는 혁신적 포용국가로 가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수석은 1일 "고용 없는 성장의 시기에 들어선 상황에서 지역 경제가 너무 힘들기 때문에 문제를 타결할 수 있는 것은 결국 사회적 대화와 타협밖에 없다"며 "사회적 대화와 타협의 실현 가능한 모델로 제시된 게 광주형 모델인 만큼 계속 확산되어 나가면 지역 경제도 살리고 장기적으로는 우리 경제의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 역시 광주형 일자리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꾸준하게 했고 어제 협약식도 참석할만큼 중요한 경제적 모델"이라며 "첫 시작을 하는 광주의 경우 SUV 10만대를 생산하기로 계획되어 있는데 엄청난 경제적, 고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형 일자리의 구체적인 일정과 관련해 정 수석은 "올해 말이나 내년쯤이면 직원을 뽑을 수 있을 것이고 자동차가 생산돼 팔리기 시작하는 건 2021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군산, 구미 등 다른 지역에서도 적극적으로 이 모델을 연구하고 있다"며 "지역 실정에 맞는 전략적인 산업을 대상으로 꾸준하게 진행 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정부는 광주형 일자리를 다른 지역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모델을 이달 발표할 예정이다. 또 상반기 중에 2~3곳의 지방자치단체를 지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추가 지역으로는 경북 구미와 전북 군산, 대구 등이 꼽히고 있다.
청와대는 또 ‘광주형 일자리’라는 이름을 바꾸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상생형 일자리’, ‘사회적 타협 일자리’ 등이 논의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축사에서 ‘상생형 지역일자리’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처럼 문재인정부의 최대 일자리 미션이었던 ‘광주형 일자리’ 협상이 성공적으로 타결됨에 따라 정 수석의 발걸음은 한결 가벼워질 것으로 보인다.
정 수석의 향후 행보는 당연히 21대 총선 출마가 될 것으로 청와대 안팎에서는 보고 있다.
그는 지난 2015년 4·29 재보궐선거와 2016년 20대 총선에서 서울 관악을에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20대 총선 당시엔 1000표가 안 되는 근소한 차이로 낙선해 아쉬움을 남겼다.
정 수석은 1963년 경남 사천 출생으로 서울대 사회복지학과를 거쳐 뉴욕주립대에서 행정학 석사를 졸업했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의 국회의원 시절 보좌관으로 오랫동안 일했고, 참여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 대변인, 정책조정비서관, 기획조정비서관으로 일하며 정책·기획통으로 정평이 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