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곶~판교 복선전철 건설사업 추진을 위한 밑그림을 그린다. 1년 3개월간 기본설계를 거쳐 2021년에 첫 삽을 뜬 뒤, 2025년 개통하는 것이 목표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월곶∼판교 복선전철 건설사업에 대한 노반공사 기본설계를 이달 18일부터 본격 착수했다.
월곶∼판교 복선전철은 수도권 서남부 지역주민들이 고속철도 광명역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경강선(판교∼강릉)과의 연계를 통해 동서를 잇는 철도 축을 완성하기 위한 노선이다. 현재의 수인선 월곶역과 경강선 판교역을 연결하게 된다.
송도역에서는 인천발 KTX·수인선, 시흥시청역에서 서해선, 광명역에서 경부고속철도·신안산선, 인덕원역에서 과천선·인덕원∼동탄선, 판교역에서 신분당선·경강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현재 인천 송도에서 강릉까지 버스로 3시간 52분이 소요되나, 월곶∼판교 복선전철이 개통되면 경강선(판교~강릉)과의 연계운행을 통해 소요시간이 무려 2시간 2분이나 줄어들어 1시간 50분 만에 수도권 서남부 지역과 강원권을 잇게 된다.
김상균 이사장은 “총사업비 약 2조 664억 원이 투입될 월곶∼판교 복선전철은 1년 3개월(예정) 동안 기본설계를 거쳐 2021년에 첫 삽을 뜨게 된다”면서 “도심 지하 굴착에 따른 지반 침하를 예방하기 위해 설계과정에서부터 공간정보를 철저하게 분석하고, 지질조사 또한 빈틈없이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