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2/27/20190227132007352433.jpg)
미세먼지 저감 인공강우 실험[사진=연합뉴스]
기상청과 환경부는 27일 기상청에서 합동 브리핑을 열어 지난달 25일 서해에서 실시한 인공강우 실험 최종 결과를 이 같이 발표했다.
실험 결과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기상청 관계자는 "구름 씨 살포 후 대기 중 구름 발달이 확인되고 일부 섬에서는 강우가 감지됐다"면서도 "지상 부근 대기가 건조해 내륙에서는 강우가 감지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5일 전남 영광 북서쪽 110㎞(전북 군산 남서쪽) 바다 위 하늘에서 기상 항공기를 이용해 인공강우 물질인 요오드화은(silver iodide) 연소탄 24발을 살포했다.
이후 기상 항공기에 장착된 장비로 구름 내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큰 구름과 강우 입자 수가 늘었고, 기상레이더에서는 하층 구름이 발달하는 것이 탐지됐다.
내륙에서는 강우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장산도 등 일부 섬에서는 감지됐다.
기상청은 "구름 씨 살포로 발달한 하층운에서 약한 강우가 생성됐지만, 내륙은 지상 부근의 대기가 건조해 낙하하는 강우 입자가 증발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환경부는 실험이 이뤄진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바다 위에서는 외부 대기오염물질 유입으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계속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내륙보다 상대적으로 실험이 어려운 바다 위에서 인공강우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증우량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