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은 3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18년 IP TREND 연차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미국 내 한국 기업과 외국기업 간 특허소송은 총 284건=(제소 104건, 피소 180건)으로 전년 182건 대비 약 56% 증가했다. 사건 당 피고 수 기준(한국기업이 원고인 경우 외국 피고의 수, 한국 기업이 피고인 경우 한국 기업 수)이며, 사건 수 기준으로는 131건(전년比 32%↑)으로 나타났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4/03/20190403103128942793.jpg)
[자료=특허청]
특히 중소‧중견기업은 제소건수가 2016년 6건에서 2018년 92건으로 15배 이상 폭증했다. 지난해 중소‧중견기업은 총 10개사가 소송을 제기했고, 그 중 2개사가 70건의 소송을 제기하면서 제소 증가를 주도했다.
목성호 특허청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은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서 특허분쟁에 공세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은 우리 기업들의 지재권 역량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특허공제와 지식재산 기반 금융지원 제도 등을 통한 효과적 자금 지원으로 중소기업들이 해외 특허를 확보하고, 지재권 역량을 보다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