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4/03/20190403115749265650.jpg)
[자료=SNE리서치]
SK이노베이션이 올 1~2월 처음으로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점유율 10위권에 안착했다. SK그룹이 '포스트 반도체'로 배터리 부문을 선정하고 공격적인 투자를 지속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3일 전기차 배터리 시장 분석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2019년 1~2월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 10위에 SK이노베이션이 올랐다. LG화학과 삼성SDI는 각각 4위와 6위를 차지했다.
2019년 1~2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약 12.4GWh로 전년 대비 129.4% 급증했다. LG화학은 약 1.3GWh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65.7%)이 시장 평균을 밑돌아 순위가 4위로 한 계단 내려갔다. 삼성SDI는 약 414MWh로 정체돼 순위가 5위에서 6위로 한 계단 하락했다.
반면, SK이노베이션은 약 206MWh로 3.3배 이상 급증, 사상 최초로 톱 10에 진입하는 쾌거를 기록했다. 순위는 전년 동기 대비 두 계단 올라섰다.
SK이노베이션의 성장세는 배터리 탑재 모델들의 판매 증가에 따른 것이다. SK이노베이션은 니로 BEV와 니로 PHEV 등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다만 중국계 업체들의 강세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존 메이저 업체인 CATL, BYD와 더불어 AESC와 Guoxuan, Farasis 등 중국계가 톱 10에서 5개사로 절반에 달해 여전히 상당한 지분을 차지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중국을 비롯해 일본계인 파나소닉도 아직 건재한 상황"이라며 "앞으로 한국계 3사가 중국계와 일본계의 공세에 대응하여 활로를 적극 개척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