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일 서울 서초구 한국원자력산업회의에서 '원자력 미래포럼' 첫 회의를 개최하고, '에너지전환 시대의 원자력 미래 비전'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주요 권역별 세미나(4∼6월), '공감 토크쇼'(4월 3일 코엑스), 대학생 경진대회(6월 24∼25일 천안) 등을 통해 원자력 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과 소통을 확대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미래 원자력 산업이 노후 원전 해체 및 방폐물 관리 영역과 우주·극지·해양·환경 등 융합기술, 방사선의료·바이오, 핵융합 등 분야에서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은 대형 상용원전 건설·운영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치우쳐 있어 원전 해체 등 후행주기 산업 기반과 다른 산업부문과의 융·복합을 통한 원자력 기술의 활용 등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된다.
신희동 산업부 원전산업정책관은 "원자력 산업의 미래비전 제시를 통해, 축적된 원자력 기술과 역량을 활용한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과 산업구조 전환을 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4/03/20190403131011994834.jpg)
[사진 = 아이클릭아트]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