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24일 열린 '캠퍼스 혁신파크(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관계기관 업무협약(MOU)'에서 "4차 산업혁명 키워드 중 하나가 연결의 힘이다. 청년과 기업, 대학을 연결하는 것이 캠퍼스 혁신파크"라고 캠퍼스 혁신파크의 의의를 강조했다.
이날 중소벤처기업부와 교육부, 국토교통부는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을 위한 관계기관 업무협약'을 서울 용산 상상가에서 체결했다.
3개 부처는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대학 내부나 인근 지역에 혁신성장 생태계를 조성하는 '캠퍼스 혁신파크'를 본격 추진한다. 오는 7월 2~3개소를 선정해 시범 실시하고, 내년부터 확대에 나선다. 사업 시작에 앞서 부처 간 협업 체계를 구축해 캠퍼스 혁신파크가 지역 혁신성장 거점으로 자리 잡도록 지원한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증가하는 대학 내 유휴 부지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지정하고, 기업과 연구소를 위한 입주시설 및 주거·복지·편의 시설 등을 집중 공급한다. 입주기업과 연구소에 산학협력 지원과 창업·중소기업 지원을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단지형 개발사업이라는 점에서 기존 대학 내 창업보육센터와 차별성 있다. 캠퍼스 혁신파크에는 기술 집적도가 높은 첨단 산업 기업이 들어서게 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와 켄달스퀘어, 영국의 스탠포드 과학단지 등과 같은 산학연 협력이 국내에도 활성화되고 양질의 청년 일자리가 늘어나게 된다.
이 날 행사에서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캠퍼스 혁신파크는 창업보육센터와 같은 기존의 방식에서 한 단계 발전한 새로운 협력모델을 시작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중기부가 축적해 온 기업 지원 역량을 집중해 제2벤처붐을 확산하는데 중요한 정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에서도 스티브 잡스 같은 미래 기업가가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역 혁신성장을 위한 대학 산학연협력 활성화는 국토부의 산업단지 지정, 중기부의 기업 지원 프로그램과 결합해 한 단계 도약했다"며 "앞으로도 대학의 산학연협력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함과 동시에,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연구개발과 애로사항 해소를 지원해 혁신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캠퍼스 혁신파크는 도시에서도 혁신역량이 집중된 대학 안에 첨단산업 생태계를 만드는 것으로 과거에는 도시 외곽에 대규모로 산업단지를 개발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 인근에 산업단지를 조성하려 했던 것과 달리 잠재력 있는 기존 대학부지를 활용하는 '산업입지 시즌 3'의 시작이다. 4차 산업혁명에 선제대응해 청년 일자리 창출 기반이 될 것"이라며 "국토부는 캠퍼스 혁신파크와 도시재생 뉴딜사업 등을 융합해 대학이 혁신과 일자리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3개 부처는 신속하고 원활하게 캠퍼스 혁신파크를 조성·운영할 수 있도록 실무 협의체를 구성하고, 지원 사항을 지속적으로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중소벤처기업부와 교육부, 국토교통부는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을 위한 관계기관 업무협약'을 서울 용산 상상가에서 체결했다.
3개 부처는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대학 내부나 인근 지역에 혁신성장 생태계를 조성하는 '캠퍼스 혁신파크'를 본격 추진한다. 오는 7월 2~3개소를 선정해 시범 실시하고, 내년부터 확대에 나선다. 사업 시작에 앞서 부처 간 협업 체계를 구축해 캠퍼스 혁신파크가 지역 혁신성장 거점으로 자리 잡도록 지원한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4일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을 위한 관계기관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이를 통해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와 켄달스퀘어, 영국의 스탠포드 과학단지 등과 같은 산학연 협력이 국내에도 활성화되고 양질의 청년 일자리가 늘어나게 된다.
이 날 행사에서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캠퍼스 혁신파크는 창업보육센터와 같은 기존의 방식에서 한 단계 발전한 새로운 협력모델을 시작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중기부가 축적해 온 기업 지원 역량을 집중해 제2벤처붐을 확산하는데 중요한 정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에서도 스티브 잡스 같은 미래 기업가가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역 혁신성장을 위한 대학 산학연협력 활성화는 국토부의 산업단지 지정, 중기부의 기업 지원 프로그램과 결합해 한 단계 도약했다"며 "앞으로도 대학의 산학연협력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함과 동시에,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연구개발과 애로사항 해소를 지원해 혁신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캠퍼스 혁신파크는 도시에서도 혁신역량이 집중된 대학 안에 첨단산업 생태계를 만드는 것으로 과거에는 도시 외곽에 대규모로 산업단지를 개발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 인근에 산업단지를 조성하려 했던 것과 달리 잠재력 있는 기존 대학부지를 활용하는 '산업입지 시즌 3'의 시작이다. 4차 산업혁명에 선제대응해 청년 일자리 창출 기반이 될 것"이라며 "국토부는 캠퍼스 혁신파크와 도시재생 뉴딜사업 등을 융합해 대학이 혁신과 일자리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3개 부처는 신속하고 원활하게 캠퍼스 혁신파크를 조성·운영할 수 있도록 실무 협의체를 구성하고, 지원 사항을 지속적으로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