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직장' 공공기관 지난해 신규채용 23%↑...부채 5년만에 ↑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경태 기자
입력 2019-04-30 19: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기재부, 30일 '2018년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시' 발표

'꿈의 직장'으로 불리는 공기업 등 공공기관의 지난해 순 신규 채용 규모가 전년 대비 23%나 늘었다. 좋을 일자리 마련을 위한 정책 추진으로 비정직규모도 26% 가량 감소했다. 공공분야에서 일자리 창출에 박차를 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경영 손실 등 요인으로 끌어안은 부채 규모는 5년만에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기획재정부가 공개한 '2018년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기관 임직원 정원은 38만3000명(무기직 5만1000명)으로 전년 대비 3만6000명(10.5%)이 늘었다. 

증가분 중 2만4천명(무기직 1만7천명·일반직 7천명)은 정부의 일자리 질 제고를 위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따라 나타났다.

사회적 수요가 높은 △보건의료(3700명) △사회간접자본(SOC·2000명), 고용복지(1600명) 등에서 일자리가 늘었다. 

전체 채용 규모를 보더라도 3만4000명에 달해 전년과 비교해 1만1000명(49.8%)이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규직으로 전환된 7000명을 제외하더라도 순 신규 채용 규모는 2만7000명인 것으로 나타나 전년 대비 5000명(23.2%)가 늘어난 수준이다.

또 지난해 비정규직은 2만4931명으로 전년 대비 8928명(26.4%)이 줄었다. 

비정규직은 2017년 1월 공공부문 비정규직 연차별 전환 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이다. 

이밖에도 복리후생비는 8955억원으로 776억원(9.5%)이나 증가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임직원 수 증가(10.5%)에 따른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일자리가 크게 늘어난 것은 사실이나, 누적된 부채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을 제외한 336곳의 부채 규모는 무려 503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7조7000억원이나 늘었다.

전체 공공기관의 부채 규모는 2013년 520조5000억원을 정점으로 △2014년 519조3000억원 △2015년 504조9000억원 △2016년 500조5000억원 △2017년 496조1000억원 등으로 4년째 감소했다. 그러나 지난해들어 5년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부채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공공기관은 한국전력으로 모두 5조3320억원 가량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가스공사가 2조1927억원, 한국도로공사가 630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공기관 부채규모 역시 1년만에 8조1548억원이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번에 공시된 2018년도 공공기관 경영정보를 보다 나은 정책수립에 적극 활용하는 한편, 공공기관 경영투명성을 제고하고 국민의 경영감시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부채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공공기관은 한국전력으로 모두 5조3320억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아주경제D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