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9일 "남북이 '평화협력·경제협력' 공동체로 발전해 '남북연합' 상태를 이루면 신(新)한반도 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 전 장관은 이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주최로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출범 2주년 대외경제정책의 성과와 과제' 세미나 기조발제에서 이같이 말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3·1절 기념사 등을 통해 "신한반도 체제는 수동적인 냉전질서에서 '능동적인 평화질서'로의 전환"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이에 정 전 장관은 문재인 정부의 신한반도 체제에 대해 "기존 질서를 타파하고 우리 민족 중심의 신질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라며 "앞으로 100년을 전혀 다른 나라로 만들겠다는 장대한 목표"라고 설명했다.
다만 정 전 장관은 "주변 4국들(미·중·일·러)이 군사·경제 강국인 상황에서 그들의 국가 이익을 뛰어넘은 우리 중심의 질서 재편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라며 "냉전구조 해체를 저지하려는 갖가지 이론과 주장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날 세미나 사회를 본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는 "(남북) 경제 협력을 통해 오히려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평화에 나선다는 명제도 가능한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정 전 장관은 이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주최로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출범 2주년 대외경제정책의 성과와 과제' 세미나 기조발제에서 이같이 말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3·1절 기념사 등을 통해 "신한반도 체제는 수동적인 냉전질서에서 '능동적인 평화질서'로의 전환"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9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주최로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출범 2주년 대외경제정책의 성과와 과제' 세미나 기조발제를 하고 있다. [사진=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제공 ]
이에 정 전 장관은 문재인 정부의 신한반도 체제에 대해 "기존 질서를 타파하고 우리 민족 중심의 신질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라며 "앞으로 100년을 전혀 다른 나라로 만들겠다는 장대한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날 세미나 사회를 본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는 "(남북) 경제 협력을 통해 오히려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평화에 나선다는 명제도 가능한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