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고용부에 따르면 임서정 고용부 차관은 지난 10일 전국 지방고용노동청장을 소집, 긴급회의를 열어 지역별 노선버스 노사 동향과 대응 계획을 점검했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자동차노련) 소속 버스노조는 주 52시간제 시행을 앞두고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 8∼9일 파업 찬반투표에서는 96.6%가 파업에 찬성했다. 대부분의 노선버스 업체는 상반기에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유효기간이 끝난다.
임 차관은 "노선버스의 경우 국민 생활과 직결돼 한두 업체만 파업하더라도 파급 효과가 큰 만큼, 지방고용노동관서에서도 임단협이 원만히 타결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중재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시내버스 파업 찬반투표 D-1 [사진=연합뉴스]
다만 경기도처럼 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지 않고, 300인 이상 사업장이 밀집된 지역의 경우 주 52시간제가 논란이 될 수 있다.
임 차관은 "일자리함께하기 지원금의 적극적인 안내·연계와 함께 지자체와 공조체제 구축 등을 통해 버스 운행에 차질이 없도록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국 지방노동관서는 지난 3일부터 노선버스 상황반을 설치해 관할 지역 노선버스 업체의 노동시간 단축 준비 상황 등을 점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