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우리나라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 제안한 '마이크로 연료전지 파워시스템' 표준안이 IEC 국제표준(IEC 62282-6-400)으로 등록됐다고 26일 밝혔다.
국표원 관계자는 "수소경제를 혁신성장 분야로 키우기 위해 지난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지난 4월 수소경제 표준화 로드맵을 각각 발표하고 거둔 첫 대외적 성과이기 때문에 의미가 남다르다"고 말했다.
'마이크로 연료전지 파워시스템' 국제표준은 수소 연료전지 기술을 노트북, 휴대전화 등 소형 전자기기에 적용할 때 필요한 전력에 대한 요구사항과 이 전력을 안전하고 호환성 있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현재 수소차와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를 중심으로 실현되고 있는 수소경제가 전자기기를 비롯한 다른 영역으로 확산되려면, 제품에 장착되는 연료전지의 소형화가 필수적이다.
특히, 이 표준은 전자기기 뿐 아니라 전기 자전거, 전동 카트, 지게차와 같은 경량 차량, 무인주행로봇 등의 분야로도 연료전지를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이홍기 우석대 에너지공학과 교수가 산업부의 신재생에너지 기반구축 과제 수행을 통해 2016년 4월 IEC에 제안한지 약 3년 만에 국제표준으로 확정됐다.
이 교수는 "마이크로 연료전지는 기존 이차전지에 비해 고에너지 밀도 등의 신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서 "안전성이 확보되고 가격조건 등이 맞으면 소형 스마트 기기를 중심으로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사용환경에서 기존 이차전지 적용 노트북의 사용시간은 약 4∼8시간인데 비해 마이크로 연료전지 적용 노트북은 약 12∼15시간이나 된다.
마이크로 연료전지 분야는 표준화 초기 단계로 지금까지 등록된 국제표준이 5종에 불과하다.
한국도 안전과 성능 분야 표준화를 주도해 온 미국, 일본과 함께 국제표준 선점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셈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경제 국제표준 15종 이상을 제안해 전체 국제표준 제안의 20% 이상을 선점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승우 국표원장은 "수소경제 제1호 국제표준 등록은 우리나라가 수소경제 선도국으로 도약하는 교두보를 마련한 것"이라며 "수소경제 분야에서 우리가 강점을 가진 기술들을 국제표준으로 적극 반영해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5/26/20190526113724455650.jpg)
마이크로 연료전지 파워시스템 적용 예시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