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유플러스는 4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나노코리아 2019' 어워드에서 조직위원장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나노코리아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과 나노기술연구협의회가 주관하는 행사다. 국내외 최신 나노기술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업계 관계자들의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지난 2003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17주년을 맞았다.
대유플러스는 나노산업기술 경쟁부문에 참가해 '에너지 절감 탄소 나노 면상 발열체' 제품을 선보여 상을 받았다.
탄소 나노 면상 발열체는 나노 소재 물질을 잉크로 만들어서 활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발열체 모양으로 인쇄를 해서 찍어낸 뒤 전기를 공급해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발열할 수 있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대유플러스는 연관 관계사와 양산라인을 구축해 2020년 하반기 공급에 나선다는 목표다.
대유플러스는 탄소 나노 면상 발열체를 비롯해 알루미늄 복합체, 나노 파우더 등 국내 특허와 해외 특허를 포함해 20여건 이상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팜 조성을 위해 모듈 제품 개발 및 시범하우스를 운영하고 있다.
대유플러스 관계자는 "탄소 나노 면상 발열체를 전기자동차 난방 시스템, 스마트팜, 건축, 가전 등 산업 전반으로 확대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나노코리아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과 나노기술연구협의회가 주관하는 행사다. 국내외 최신 나노기술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업계 관계자들의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지난 2003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17주년을 맞았다.
대유플러스는 나노산업기술 경쟁부문에 참가해 '에너지 절감 탄소 나노 면상 발열체' 제품을 선보여 상을 받았다.
탄소 나노 면상 발열체는 나노 소재 물질을 잉크로 만들어서 활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발열체 모양으로 인쇄를 해서 찍어낸 뒤 전기를 공급해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발열할 수 있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대유플러스는 연관 관계사와 양산라인을 구축해 2020년 하반기 공급에 나선다는 목표다.
대유플러스 관계자는 "탄소 나노 면상 발열체를 전기자동차 난방 시스템, 스마트팜, 건축, 가전 등 산업 전반으로 확대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04/20190704152152697759.jpg)
(왼쪽)조상호 대유플러스 대표이사가 4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나노코리아 2019'에서 조직위원장상을 받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대유플러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