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이날 오후 4시 서울 중구 민주노총 15층 교육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히며 “교육당국이 성실한 교섭을 통해 노력하겠다고 제안해 다시 한번 교섭약속을 믿어보려고 한다”고 전했다.
학비연대는 “지난 3일부터 오늘까지 연인원 약 10만 명이 참가하는 역대 최대 규모, 최장기간 총파업투쟁을 진행했다”며 “교육당국의 성의 없는 태도는 비정규직 없는 학교와 세상을 만들겠다는 현장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요구가 합쳐 최대 규모의 총파업이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정부와 정치권은 저임금 노동자들의 희망인 최저임금 1만원 공약은 후퇴 없이 추진과 노동개악 시도 중단, 학교 포함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를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교육 당국에서 ‘빠른 시간 내에 성실히 교섭에 임하고 노조와 협의하고 완성하겠다’는 연락이 와서 고민 끝에 다시 한번 교육 당국을 믿어보자 결단을 했으며, 불성실한 태도가 다시 나오거나 저희 요구안이 관철되지 않을 시에는 전국 모든 학교를 멈춰 세울 준비가 돼있다”고 전했다.
이날 학비연대는 ‘최저임금 교섭 과정에서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2차 총파업을 할 가능성도 있는가’는 취재진의 질문에 “최저임금 정세는 우리 교섭과 같이 갈 수 밖에 없다”며 최저임금 협상이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도 내비쳤다.
또 ‘비정규직 정규직화 과정에서 시도교육청은 예산 한계가 있어 정부 역할이 중요할 것 같은데 어떤가’는 질문에 “근 3년간 교육재정 교부금이 20조원 증액됐으며 이중 1%만 투자해도 정부와 교육감들의 공약을 실현할 수 있다”고 답했다.
연대회의는 기본급 6.24% 인상, 근속급‧복리후생비 등에서 정규직과의 차별 해소, 임금 수준을 공무원 최하급 직급의 80%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공정임금제’ 시행 등을 요구하며 지난 3일부터 이날까지 파업을 진행했다.
전국 1만454곳 중 파업 영향으로 급식을 중단한 학교는 3일 2057곳, 4일 1771곳, 이날 1508곳으로, 급식이 중단된 학교에서는 빵과 우유 등 대체급식이 제공됐다. 사흘 동안 파업 참가 연인원은 5만 2000여명으로 교육 당국은 보고 있다.
한편 교육당국과 연대회의는 오는 9일부터 10일까지 다음 교섭을 계획하고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05/20190705164248739529.jpg)
급식 종사원 등 전국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총파업 이틀째인 4일 오전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각자 준비한 도시락을 먹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