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동화기업이 최근 3년간 추진한 주요 인수·합병(M&A)만 4건이다. 동화기업은 2017년 4월 공업용 접착제 및 세정제 제조판매를 하는 태양합성을 405억원에 인수했고, 같은 해 10월에는 테고필름(TEGO Film) 생산량 세계 3위 기업인 코트카밀 임프렉스(현 동화 핀란드)를 345억원에 사들였다. 2018년에는 태국으로 눈을 돌려 태국 아그로 파이버(Agro Fiber) MDF(중밀도 섬유판) 사업부문을 인수했다.

[자료=동화그룹, 하나금융투자]
이번 파낙스이텍 인수는 건자재‧목재 관련 업체가 아니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파낙스이텍은 2차전지용 전해액 공급업체로, 연간 2만3000t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동안 일본 미쓰비시화학, 중국 코타이하우롱 등이 독과점해 온 전해액 시장에서 처음으로 국산화에 성공했다.
동화기업이 파낙스이텍 지분 90%를 인수하는 데 투입한 비용은 1200억원이다. 지난 5월 파낙스이텍 경영권 매각을 위한 쇼트리스트가 추려진 뒤 동화그룹, 아주그룹 등 세 곳이 본입찰에 참여하면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지만, 동화그룹이 경쟁사 대비 높은 가격을 써내면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동화그룹은 기존 사업 강화를 위한 해외 업체 M&A와 함께 2차전지 전해액 공급이라는 신사업에 뛰어들면서 내수 중심의 타 건자재 기업과 차별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동화그룹이 그동안 경험하지 못했던 사업을 추진하는 만큼 경영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과 일본·중국 기업과 경쟁해 글로벌 시장 개척 여부 등은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다.
파낙스이텍 인수를 주도한 화학총괄 이시준 사장은 “동화기업의 화학사업 운영 노하우를 파낙스이텍에 효율적으로 접목시켜 양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