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소비자 농식품 구매자료와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일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9/02/20190902152858139309.jpg)
[사진=장성군 제공]
최근 10년 사이 추석이 9월 셋째 주 이전이었던 해는 2011년과 2014년, 2016년에 이어 올해다. 농진청의 조사 결과 추석이 빨리 찾아올 때는 멜론과 복숭아, 포도 구입액이 증가했다. 평소 대비 추석 전 가구당 구입액이 멜론은 97%, 복숭아는 174%, 포도는 142%가 각각 증가했다.
반면 사과와 배는 추석 이전에 구매가 급증한 뒤 소비가 감소하거나 정체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농진청 관계자는 "사과와 배는 추석 뒤 물량 조절 등 출하 전략이 필요하다"며 "추석이 이른 해에는 당도를 비롯해 과실이 덜 익는 경우가 있어 맛과 관련된 품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고 설명했다.
2010년 이후 추석 전 2주간 구입액을 살펴보면 지난 9년간 소고기 39.4%, 감귤 68.8%, 바나나 40% 등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포도(-26.5%), 복숭아(-30.8%)는 감소했다.
일반 식품 가운데에서는 즉석밥 구입액이 39.4% 늘어나 눈길을 끌었다. 소고기 가공품과 즉석·냉동식품도 각각 62.8%, 52%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