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한일 관계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가운데, 일본 정부는 민간 교류는 지속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4일 NHK방송에 따르면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한일 관계는 현재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면서 "양국 관계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도 미래에 대한 상호 이해의 기반이 되는 국민 간 교류 등은 앞으로 계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그는 '한국은 필요없다'는 내용의 일본의 한 주간지 보도와 관련해 "개별 언론의 보도 내용과 보도 행태에 대해서 정부는 논평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일 일본 시사주간지 '주간포스트'는 '한국 따위 필요없다'는 제목의 특집 기사를 통해 "혐한이 아닌 단한(斷韓·한국과의 인연을 끊는다는 의미)이 필요하다"며 "보복 조치로 삼성의 스마트폰과 LG의 TV도 못 만들게 된다"는 등 한국 비난하며 한일 간 국교 단절을 주장했다. 이어 "한국인 10명 중 1명은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분노조절이 안된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파기로 서울이 북한에 점령당하는 악몽" 등의 원색적 비난도 했다.
이후 주간 포스트에 글을 게재하는 작가들이 연재를 중단하겠다고 밝히고, 일본 언론도 주간포스트를 맹비난했다.
마이니치신문은 4일 "강제징용 문제나 위안부 합의를 둘러싼 문재인 정권의 대응은 확실히 국가 간의 신뢰에 어긋난다"며 "민주주의 국가인 만큼 정치 비판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주간포스트의 혐한 특집은 마지노선을 넘어섰다며 "상대국가에 대한 차별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한·일 관계는 감정적이 되기 쉬운 역사가 있는 만큼, 서로의 인식 차를 메우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언론이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4일 NHK방송에 따르면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한일 관계는 현재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면서 "양국 관계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도 미래에 대한 상호 이해의 기반이 되는 국민 간 교류 등은 앞으로 계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 [사진=AP·연합뉴스]
앞서 지난 2일 일본 시사주간지 '주간포스트'는 '한국 따위 필요없다'는 제목의 특집 기사를 통해 "혐한이 아닌 단한(斷韓·한국과의 인연을 끊는다는 의미)이 필요하다"며 "보복 조치로 삼성의 스마트폰과 LG의 TV도 못 만들게 된다"는 등 한국 비난하며 한일 간 국교 단절을 주장했다. 이어 "한국인 10명 중 1명은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분노조절이 안된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파기로 서울이 북한에 점령당하는 악몽" 등의 원색적 비난도 했다.
이후 주간 포스트에 글을 게재하는 작가들이 연재를 중단하겠다고 밝히고, 일본 언론도 주간포스트를 맹비난했다.
마이니치신문은 4일 "강제징용 문제나 위안부 합의를 둘러싼 문재인 정권의 대응은 확실히 국가 간의 신뢰에 어긋난다"며 "민주주의 국가인 만큼 정치 비판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주간포스트의 혐한 특집은 마지노선을 넘어섰다며 "상대국가에 대한 차별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한·일 관계는 감정적이 되기 쉬운 역사가 있는 만큼, 서로의 인식 차를 메우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언론이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