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에 미혼 인구 증가…2047년 1인 가구 832만가구 추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해곤 기자
입력 2019-09-18 14:1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평균 가구원 수 2.48→2.03명…2인 이하 가구 70% 넘어

2047년쯤이면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832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자식과 함께 살지 않는 2인 가구까지 더하면 전체의 70%를 넘어설 전망이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 특별추계 2017∼2047년'에 따르면 2017년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중은 558만3000가구에서 2047년이 되면 832만 가구로 늘어난다. 전체 가구 비중은 28.5%에서 37.3%로 확대된다.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1인 가구는 대부분 고령층일 것으로  분석한다. 2017년 1인 가구는 30대가 가장 높은 17.4%를 차지하고 있지만, 2047년이 되면 70대가 21.8%로 가장 큰 비중이 된다. 65세 이상은 절반 가까운 48.7%까지 뛰어오른다.
 

가구유형별·가구원수별 구성비 추이. [자료=통계청]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1인 가구가 증가는 미혼 인구가 늘어나 독립 가구가 형성되기 때문"이라며 "고령층은 황혼이혼이나 사별 등으로 가구가 분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결혼하더라도 애를 놓지 않거나 따로 사는 부부가구의 비중도 늘어난다. 2017년 309만3000가구인 부부 가구는 2047년 479만4000가구로 늘어날 전망이다. 부부가구의 연령대는 2017년 60대(31.7%)가 가장 많았지만, 2047년에는 70대(34.2%)의 비중이 가장 커진다.

1인 가구와 부부가구를 더하면 2017년 44.3% 비중에서 2047년이 되면 전체 가구의 3분의 2 수준인 58.8%까지 높아진다. 반면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비중은 절반으로 떨어진다. 2017년 615만 가구에서 2047년에는 363만8000가구로 감소할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평균 가구원 수는 2017년 2.48명에서 2.03명까지 줄어든다. 가구원 수를 기준으로 한 전망에서 1∼2인 가구는 증가하는 반면, 이보다 가구원 수가 많은 가구는 줄어들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1∼2인 가구의 비중은 2017년 55.2%에서 2047년 72.3%로 증가한다. 2017년 521만8000명이었던 2인 가구는 2047년 780만1000가구로 1.5배 증가할 전망이다. 2인가구 가구주 나이를 보면 2017년에는 60대(24.7%)가 가장 비중이 컸지만 30년 뒤에는 50대(23.2%)가 가장 커질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