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은 19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분할과 재상장을 한 달 앞두고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기업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동현수 부회장은 “사업환경을 고려했을 때 적절한 시점에 분할을 함으로써 기존 사업과 신규 사업들의 성장이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예상되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서 모든 경영진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설명회에서는 존속법인인 ㈜두산(동현수 대표이사 부회장)과 신설법인인 두산퓨얼셀(유수경 대표), 두산솔루스(이윤석 대표)의 대표들이 직접 발표자로 나서 각 회사의 경쟁력과 성장전략을 소개했다.
소재 및 에너지 부문에서는 고사양 전자소재 사업과 친환경 수소에너지 시장에서 사업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5G 시대로 본격 진입함에 따라 관련 소재 및 부품 시장은 올해 6000억원에서 2023년 1조9000억원으로 33% 성장할 전망이다.
또한 자율주행, 전기차 관련 전장 시장과 국내 비메모리 반도체, 수소 경제 등 관련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두산은 네트워크 보드, 반도체용 소재, 전기차 및 연료전지 소재, 가정용 및 건물용 연료전지 등 전자, 전기차, 에너지 소재 사업으로 경쟁력을 확대시켜 나갈 예정이다.
물류 자동화 솔루션 사업에서는 물류 창고 전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합 설계하고 구축 및 운영하는 물류 시스템 통합사업자(SI)로 키울 계획이다. ㈜두산의 전략 육성 사업인 물류 시스템 통합, AGV(Automated Guided Vehicle), 전동지게차, 협동로봇, 산업용 드론 등 관련 사업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3년까지 총 141조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신설법인 두산퓨얼셀의 사업분야인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의 국내 시장규모는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2040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두산퓨얼셀은 지난해 세계 최대 부생수소 발전소(한화 대산)를 수주하는 등 시장 진입 후 3년 만인 지난해 처음으로 수주 1조원을 넘어섰고, 2023년 매출 1조를 달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두산솔루스는 전지박, OLED 등 전자 소재와 화장품, 의약품 등에 활용되는 바이오 소재 사업을 주력으로 한다.
전지박은 2020년 하반기부터 유럽 유일의 전지박 제조 공장인 헝가리 공장에서 양산을 시작해 유럽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전기차 및 배터리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지박 수요는 2018년 7만5000톤(1조원 규모)에서 2025년 97만5000톤(14조3000억원)으로 연평균 40% 이상 성장이 전망된다.
바이오 소재 분야도 헬스·뷰티 산업의 지속적인 확대에 힘입어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두산솔루스의 올해 예상 매출은 약 2600억원, 2023년 매출 목표는 1조원이다.
분할 일정에 따라 ㈜두산 주식은 9월 27일부터 거래가 정지되며, ㈜두산 및 신설 회사의 주식은 10월 18일 주식시장에 재상장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9/19/20190919164601898587.jpg)
㈜두산은 19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분할과 재상장을 한 달 앞두고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기업설명회를 열었다. 존속법인인 ㈜두산의 동현수 대표이사 부회장이 성장 전략과 비전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두산그룹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