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 국내 최초 해외 곡물터미널 준공…韓 식량안보 책임진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백준무 기자
입력 2019-09-25 09: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연 250만t 규모 출하량 통해 조기 물량 확보 기대

  • 미래 핵심사업으로 식량 사업 육성 계획년 1천만t 구축 목표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미콜라이프에서 열린 곡물 수출터미널 준공식에서 (왼쪽 세번째부터) 알렉산더 쉔케비치 미콜라이프 시장, 김영상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 알렉산드르 스타드닉 미콜라이프 주지사, 유리 부드닉 오렉심그룹 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 제공]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국내 최초로 해외 곡물 수출터미널을 준공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25일 포스코인터내셔널에 따르면 회사는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미콜라이프에서 곡물 수출터미널 준공식을 개최했다. 준공식에는 김영상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 유리 부드닉 오렉심그룹 회장, 권기창 주 우크라이나 대사 등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알렉산드르 스타드닉 미콜라이프 주지사, 알렉산더 쉔케비치 미콜라이프 시장 등 현지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적극 추진하고 있는 곡물 수출 터미널 개발 우수 사례로 이번 사업에 거는 기대감을 적극 표명했다는 게 포스코인터내셔널 측 설명이다.

우크라이나 곡물터미널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운영권자로서 지분 75%를 확보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최대 수출항 중 하나인 미콜라이프 항에 위치하고 있으며, 밀, 옥수수, 대두 등 연간 250만t 규모의 곡물을 출하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는 곡물 생산량이 지난 2007년 4000만t에서 2017년 7700만t으로 10년 사이 약 2배, 수출량은 같은 기간 850만t에서 4300만t으로 약 5배 증가한 신흥 수출 강국이다. 옥수수, 밀, 대두 등 주요 곡물의 5대 수출국이자 전 세계 주요 곡창지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특히 전체 곡물 수출량의 약 90%가 흑해 항만을 통해 수출되고 있으며, 이중 최대 물량인 22.3%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곡물 수출터미널이 위치한 미콜라이프 항에서 수출되고 있다.

이번 곡물 수출터미널 준공을 통해 우크라이나 생산 곡물의 수매, 검사, 저장, 선적에 이르는 단계별 물류 컨트롤이 가능해졌을 뿐 아니라 제반 리스크를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재고를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흑해의 곡물조달 조기 물량 확보로 아시아와 북아프리카 및 중동(MENA) 지역의 연계 수요를 개발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특히 국내 민간기업이 해외 수출 터미널을 운영하게 되었다는 것은 글로벌 곡물 트레이더로서의 역량 강화를 뛰어넘어 국가 곡물조달 시스템 구축 및 기업시민 실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번 준공식을 계기로 기존의 철강, 에너지 사업과 함께 미래 핵심사업으로 식량사업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곡물 트레이딩 뿐만 아니라 투자를 통한 식량인프라 구축으로 농장형-가공형-유통형으로 이어지는 밸류체인 확장을 통해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2023년까지 곡물 1000만톤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김영상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자사는 한국 최대의 식량자원 기업을 목표로 식량사업 밸류체인을 확장해 가고 있으며, 그 중심에 우크라이나 곡물수출 터미널이 있다"며 "세계적인 곡물시장인 우크라이나와의 사업 협력은 대한민국 식량안보 구축과 포스코그룹 100대 과제 달성의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