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일본, 호주 등 16개국이 참여하는 역내포괄적동반자협정(RCEP)의 연내 타결에 강한 의욕을 나타냈다. 미국과의 무역갈등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아시아 국가들과의 연계 강화를 서둘러 '우군 확보'에 나서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29일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왕서우원 중국 상무부 부부장은 이날 신중국 건국 70주년 기념행사 관련 기자회견에서 "RCEP 협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10월에 각국이 또 다시 태국에서 만나 RCEP의 연내 타결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논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RCEP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ASEAN)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호주, 인도, 뉴질랜드 등 모두 16개국이 참여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메가급 자유무역협정이다. 2012년 시작된 협상은 올해 11월 RCEP 정상회의에서 실질적 타결을 목표로 내건 만큼 각국이 합의안을 도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왕 부부장은 "올해 두 차례 열린 회담에서 각국이 연내 협상 타결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중국은 아세안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중국은 다른 RCEP 회원국과 함께 노력해 협상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길 바란다"며 "중국은 RCEP를 통해 호혜적 협력을 한층 심화하고 더 긴밀한 이익 공동체를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RCEP의 추진 의의를 재차 강조했다. 왕 부부장은 "RCEP은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으며 잠재력이 큰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역내 산업 분업과 경제융합, 각국의 발전 공간 확대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서 왕 부부장은 이날 신시대에 맞는 우호관계를 발전시키자면서 밀접한 고위급 상호 방문과 새로운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한·일 갈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중재 역할을 하겠다"고 부연했다.
중국이 RCEP 타결에 적극적으로 나선 이유는 자유무역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줌과 동시에 아시아국가들과의 연계 강화에 하루빨리 나서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30일 NHK는 최근 중국이 한·일 갈등의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 것이 자국 이익에 도움이 되는 한·중·일 FTA 및 RCEP 타결을 위한 행보라고 내다봤다. RCEP가 성사될 경우 전 세계 인구의 48.7%, 국내총생산(GDP) 총합의 29%를 포함하게 된다. 중국으로서는 미국의 관세 인상 등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면서 시장을 넓힐 기회이기 때문에, 이 기회를 놓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아울러 미국의 관세 보복에 맞닥뜨린 중국이 한·중·일 FTA를 통해 제3국 시장 개척이라는 '우회로'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있을 것이라고 NHK가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 일본이 잠정 무역합의를 타결함으로써 RCEP 성사에 더욱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과의 무역협상 타결로 미국이 중국에 자신의 요구를 더 강하게 밀어붙일 가능성이 있어 미·중 무역전쟁이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29일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왕서우원 중국 상무부 부부장은 이날 신중국 건국 70주년 기념행사 관련 기자회견에서 "RCEP 협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10월에 각국이 또 다시 태국에서 만나 RCEP의 연내 타결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논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RCEP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ASEAN)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호주, 인도, 뉴질랜드 등 모두 16개국이 참여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메가급 자유무역협정이다. 2012년 시작된 협상은 올해 11월 RCEP 정상회의에서 실질적 타결을 목표로 내건 만큼 각국이 합의안을 도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왕 부부장은 "올해 두 차례 열린 회담에서 각국이 연내 협상 타결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중국은 아세안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RCEP의 추진 의의를 재차 강조했다. 왕 부부장은 "RCEP은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으며 잠재력이 큰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역내 산업 분업과 경제융합, 각국의 발전 공간 확대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서 왕 부부장은 이날 신시대에 맞는 우호관계를 발전시키자면서 밀접한 고위급 상호 방문과 새로운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한·일 갈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중재 역할을 하겠다"고 부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9/30/20190930083017116623.jpg)
[그래픽=아주경제]
30일 NHK는 최근 중국이 한·일 갈등의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 것이 자국 이익에 도움이 되는 한·중·일 FTA 및 RCEP 타결을 위한 행보라고 내다봤다. RCEP가 성사될 경우 전 세계 인구의 48.7%, 국내총생산(GDP) 총합의 29%를 포함하게 된다. 중국으로서는 미국의 관세 인상 등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면서 시장을 넓힐 기회이기 때문에, 이 기회를 놓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아울러 미국의 관세 보복에 맞닥뜨린 중국이 한·중·일 FTA를 통해 제3국 시장 개척이라는 '우회로'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있을 것이라고 NHK가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 일본이 잠정 무역합의를 타결함으로써 RCEP 성사에 더욱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과의 무역협상 타결로 미국이 중국에 자신의 요구를 더 강하게 밀어붙일 가능성이 있어 미·중 무역전쟁이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