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22일 "오는 2022년까지 일반 수소충전소와 버스 전용충전소를 주요 도시에 250기, 고속도로·환승센터 등 교통거점에 60기 등 총 310기 구축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주요 도시에 수소차 운전자가 최대 30분 이내 충전소에 도달할 수 있도록 충전소를 배치한다. 고속도로 등 교통거점에는 수소차 장거리 운행을 지원하고,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도 강화한다.
이달 현재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는 31기이며 올해 연말까지 우선 86기(누적·착공포함)를 구축한다. 장기적으로 오는 2030년까지 600기를 구축해 주요 도시에서 20분 내, 고속도로에서 75㎞ 내 충전소 이용이 가능토록 할 방침이다.
융복합·패키지형 수소충전소를 확대해 입지 및 구축 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수소충전소의 장기적인 구축 비용 절감을 위해서 핵심부품 국산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수소차 이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10월 중 양방향 정보제공 플랫폼을 구축한다. 아울러 충전 속도를 향상한 충전소 모델을 개발해 수소 충전 대기시간을 절감한다.
정부는 수소 생산 방식 다양화, 저장·운송 인프라 확충을 통해 증가되는 수소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고 수소 가격을 안정화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2022년 수소차 6만7000대(정부 목표)가 보급될 경우 연간 약 3만t의 수소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수소유통센터를 설립해 적정 수준의 수소 가격을 유지·관리한다. 장기적으로 대용량 튜브 트레일러 제작, 파이프라인 건설, 액화 운송 확대 등을 통해 시장 중심의 수소 가격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는 최근 수소 설비 관련 국내·외 사고로 관심이 높아진 수소충전소의 안전에 대해서는 법·기준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강화하고, 수소 안전관리 전담기관을 설치하여 철저하게 관리한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방안을 통해 전국 각지의 수소 공급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면서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사업자, 수소차 이용자의 수소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0/22/20191022062045922645.jpg)
[표=산업통상자원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