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코스닥벤처펀드 자금 '썰물'… 순자산 4000억원 붕괴되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호원 기자
입력 2019-11-05 15: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정부가 공들여온 코스닥벤처펀드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다. 최근 3개월까지 수익률이 살아나기 시작했어도 아랑곳없어 보인다. 투자자를 붙잡을 새로운 유인이 필요하겠다.

5일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2개 코스닥벤처펀드(공모형) 설정액은 전날 기준 4900억원을 기록했다. 연초 이후 2058억원이나 빠져나가면서 설정액은 5000억원 미만으로 주저앉았다. 펀드를 처음 내놓은 2018년 4월부터 보면 더 심각하다. 코스닥벤처펀드는 순자산 상품을 출시하자마자 2조원(공모+사모)을 넘어섰지만, 이제는 순자산 4261억원(공모형)으로 줄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수익률도 저조하다. 6개월 사이 테마펀드 43개 중 가장 저조한 -11.69%를 기록했다. 그나마 3개월 사이 2.84%에 달하는 수익을 거두었다. 연초 이후 전날까지 코스닥 지수는 1.06% 빠졌다. 앞서 출시 첫해 코스닥벤처펀드의 6개월간 평균수익률은 10% 손실을 넘나들었다. 미·중 무역전쟁과 제약·바이오업종의 잇단 이슈로 코스닥 지수가 주춤하면서 설정액과 수익률이 곤두박질쳤다.

몸집이 가장 큰 KTB코스닥벤처1호 펀드의 경우 1년 사이 자금이 1331억원가량 빠졌다. 12개 공모 펀드 중 설정 후 성과가 가장 부진한 상품은 KB자산운용 코벤펀드로, 같은 기간 수익률이 9% 가까이 하락했다. 부진한 수익률에 이어 전환사채(CB) 투자 집중으로 인한 후유증까지 겹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코스닥벤처펀드는 전체 자산의 15%를 벤처기업 신주나 CB에 투자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기간에 CB 수요가 몰리면서 코스닥 기업들의 CB 발행은 2017년 3조3734억원(394건)에서 지난해 5조3398억원(504건)으로 늘었다. 올해도 지난달 말 기준 3조7573억원(248건)을 찍어내면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창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닥벤처펀드가 투자 의무 조건을 채우기 위해 코스닥·벤처기업들이 발행한 전환사채를 대거 사들였는데, 경쟁 과열로 제로 금리 채권이 발행되는 등 가격 왜곡이 생겼다"고 했다. 그는 "현재 부진한 한국형 헤지펀드에서 메자닌 시장이 중요한 역할을 했던 만큼 한동안 안정을 찾기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형 헤지펀드의 설정액은 9월 말 기준 35조원으로 전월보다 4000억원 가까이 줄었다. 평상시보다 다소 많은 162개의 헤지펀드가 해지된 영향이다.

코스닥벤처펀드는 공모주 우선 배정, 소득공제 등의 혜택을 주는 대신 코스닥·벤처 기업에 자산의 50% 이상을 넣도록 한 펀드다. 내년 안에만 가입하면 10%까지 소득공제(한도 300만원) 혜택을 준다.

최주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닥벤처펀드는 IPO 우선배정과 소득공제로 빠르게 설정액이 증가했지만, 시장 부진과 바이오업종의 침체와 맞물리면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