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랑부리백로, 겨율에 시속 50km로 타이완·필리핀 이동 확인

  • 국립문화재연구소, 첨단ICT 활용 위치추적기 부착해 조사

[문화재청]

노랑부리백로가 겨울에 타이완(대만)과 필리핀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5월 전남 영광군 칠산도에서 태어난 노랑부리백로(천연기념물 제361호)의 이동 경로 추적 결과, 이들이 전남 해남과 고창군 연안 갯벌에서 먹이를 먹고, 겨울을 나기 위해 동중국해를 지나 타이완과 필리핀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6월 27일 노랑부리백로에게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해 현재 2개체의 이동경로를 조사했다. 한 개체(개체번호: nhc1902)는 지난달 29일 전남 해남 인근 갯벌을 떠난 뒤 평균시속 54km 속도로 제주도 상공을 지나 약 1215km를 비행해 다음날인 30일 타이완 북동쪽 신베이시 해안습지에 도착한 것을 확인했다.

다른 한 개체(개체번호: nhc1904)는 지난달 30일 전북 고창 연안 갯벌에서 출발해 평균시속 51km 속도로 약 1477km를 비행해 다음날인 31일 타이완 타이난 지역에 도착한 뒤 하루 머물렀고, 다시 1340km를 이동해 다음날인 2일 필리핀 산토 토마스 강 하구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노랑부리백로의 이동경로는 국내에서 개발된 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이동통신 시스템 기반 야생동물 위치추적기(WT-300)를 이용해 추적했다. 이 기기는 태양열 충전방식을 사용해 4시간에 한 번씩 새들의 경로를 알려주고 있다.

노랑부리백로 이동경로에 대한 연구정보는 문화재청 누리집에서 문화재 공간정보(GIS)시스템과 연계한 ‘천연기념물 생태지도 서비스’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천연기념물 제361호 노랑부리백로는 전 세계에 2600~3400마리 정도만 생존하고 있는 가운데 수가 줄고 있어 세계적인 보호가 절실한 종으로 영광 칠산도 번식지는 천연기념물 제389호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지만, 해풍과 3만 여 마리에 이르는 괭이갈매기 번식으로 식물이 고사하고 토사가 유실되는 등 자연훼손으로 번식 여건이 계속 열악해지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노랑부리백로와 번식지를 함께 보존하기 위한 번식지 복원을 수행할 계획이다. 칠산도 번식지뿐만 아니라 노랑부리백로가 겨울을 나는 타이완이나 필리핀 월동지에 대해 효율적인 관리방안 수립과 관련기관과의 공조를 위해 현지조사단을 구성해 실태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