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 체계 구축 용역 보고회 개최

  •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 기틀 마련

남북한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 비무장지대(DMZ)의 국제평화지대화 제안, 한강 상하류 지역 협력강화 등 한강하구 일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천시(시장 박남춘)는 이러한 대내외적 변화에 부응하고자 27일 인천시청 장미홀에서 한강하구의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체계 구축용역’최종보고회를 열었다.

국내유일의 열린하구인 한강하구는 생태계의 보고이며 그 중요성 또한 부각되고 있다

이번 용역의 주요내용은 ▲ 한강하구 관리수역 지정(한강보류, 경기도 파주․고양․김포 일원, 인천 연안지역 영종대교․볼음도․말도) ▲ 한강하구 정책동향 및 국내·외 하구관리 사례조사 ▲ 한강하구의 수질 및 생태환경 분석 ▲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체계 제시 등이다.

특히, 인천시에서는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 해양수산부, 국방부, 통일부 등 중앙정부 및 인천(강화, 서구, 중구, 옹진), 경기(파주, 고양, 김포)등 지방정부의 협력의지를 확인했다.

◆한강하구 통합 관리를 위한 협의체 구성(예시)
 

 


백현 환경국장은 “2020년에는 한강하구 협의체를 구축하여 지속적인 환경기초조사를 통해 DATA 구축, 교육홍보 프로그램 개발운영 등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라며, “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물환경정책의 하나로 상류와 하류가 상생하고 화합하는 유역중심의 통합물관리 체계의 또 다른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