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교육청이 '2020 강원교육 정책조사' 결과를 토대로 교육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진=강원도교육청 제공]
강원도교육청이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한 ‘2020년 강원교육 정책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 교원 1880명(36개 정책) △ 학부모 4850명(34개 정책) △ 학생 3021명(24개 정책) △ 직원 910명(15개 정책)을 대상으로 도교육청 주요 정책에 대한 이행만족도와 지속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살폈다.
2020년 강원교육정책 이행만족도는 5점 만점에 학생 3.81점, 학부모 3.52점, 교원 3.83점, 직원 3.94점 등 평균 3.78이다.
이전 조사 대비(2019년 3.85점·2018년 3.83점) 소폭 낮아졌으나, 코로나19 확산 등 학교현장의 어려움을 감안하면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강원교육정책에 대한 지속필요성은 학생 4.04점, 학부모 4.13점, 교원 4.11점, 직원 4.13점 등 평균 4.10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이전 조사와 비슷한 수준(2019년 4.18점·2018년 4.17점)으로 교육 주체들이 강원교육정책 과제에 매우 공감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반적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강원교육정책들에 대해 교육 4주체들은 비교적 높은 이행만족도를 보였으며, 지속필요성은 더 높게 인식했다.
특히 학부모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강원교육정책들에 대해 다른 교육주체보다 지속 필요성을 높게 인식했고, 교직원은 지속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교원들은 학교업무정상화·교권지원·학생지원센터·학교지원센터 등의 정책을 다른 집단에 비해 필요성을 높게 인식했고, 학부모공교육비부담경감·돌봄교실·자유학년제 등은 이행만족도가 지속필요성보다 높아 충분하게 추진되고 있는 정책으로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정책 조사 결과를 면밀히 검토해 학생 보건·건강 증진, 안전한 학교환경, 학교폭력예방, 학부모 공교육비 부담 경감,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 등 만족도와 필요성이 높은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할 계획이며, 마을교육공동체, 학생동아리활동, 책임교육, 특수교육지원 강화, 자유학년제 등 이행만족도와 지속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책들은 원인을 분석하고 교육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해 개선·보완해 나갈 방침이다.
장주열 기획조정관은 “이번 강원교육 정책조사 결과를 토대로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새로운 미래교육을 위한 정책 비전을 튼실하게 세우고 실천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