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들에게 사상 최대 규모의 배당금을 안기기로 삼성전자가 결정한 것과 달리, 은행권은 정반대의 분위기다. 금융당국이 은행지주와 은행을 대상으로 배당 규모를 낮추라고 권고했기 때문이다. 중장기적으로 배당 확대를 검토하던 은행권의 계획에도 제동이 걸리는 모양새다. 이익공유제에 동참하라는 정치권의 압박까지 겹치면서 '관치금융' 논란에 불이 붙고 있다.
28일 금융위원회는 은행권에 올해 6월 말까지 순이익의 20% 이내로 배당할 것을 권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각 은행이 예년보다 배당을 줄이고 손실흡수 능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는 게 금융위 측 설명이다.
은행권 속내는 복잡하다. 당국의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주주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국내 은행의 배당성향은 2019년 기준으로 평균 24.3%로 집계된다. 4대 은행지주만 따로 보면 우리금융이 27%로 가장 높았고, 신한·KB·하나금융은 26% 수준으로 나타났다. 최소 6~7%포인트 낮은 규모의 배당을 책정해야 하는 셈이다.
배당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신한금융이다. 신한금융의 2019년 배당액은 8839억원이다. 지난해 신한금융의 연간 순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3조5274억원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배당금은 최대 7055억원이다. 1년 만에 배당금이 1800억원 가까이 줄어드는 것이다.
주주환원 계획에도 차질이 생기고 있다. 4대 금융지주는 지난해 3분기 실적을 공개하면서, 배당 성향을 전년 수준으로 유지하되 중장기적으로 30% 수준까지 높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비이자 부문의 상대적 약진으로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을 거뒀기 때문이다. 신한과 KB금융의 경우 지난해 3분기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이 넘는 당기순이익을 나란히 거두기도 했다.
KB금융은 콘퍼런스콜을 통해 "올해에는 작년 수준의 배당 성향은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신한금융은 오는 3월 주주총회에서 정관 변경을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정관 상 중간배당은 1년에 한차례 할 수 있는데, 코로나19 종식을 전제로 분기별로 1년에 최대 네 차례까지 배당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당국의 주장과 달리 배당을 줄이더라도 은행 자본력에 끼치는 영향은 미약할 것이란 반박도 나온다. NH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4대 은행지주가 배당 성향을 30%로 늘릴 경우 자기자본비율(BIS)은 최소 0.04%포인트에서 최대 0.07%포인트 감소했다. 반대로 배당 성향을 금융위의 주장과 권고 수준인 20%로 제한할 경우 BIS는 최소 0.03% 포인트에서 0.08% 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정치권의 이익공유제 논의도 은행권의 고민을 깊게 만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금융권이 이자 부담을 경감하거나 불가피한 경우 이자 수취를 중단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익공유제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그러나 은행권은 "정부 정책에 호응해 대출 원금과 이자를 유예한 규모만 110조원이 넘는다"며 반발하는 분위기다.
다만 금융권 일각에서는 "시중은행들이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꼬집기도 한다. 특히 은행권이 올해 200% 수준의 성과급을 임직원에게 지급하는 등 내부 분배에 지나치게 신경쓰는 모습이 사회적 반감을 산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올해 일부 기업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종료로 대출 부실화를 겪을 위험도 있다는 지적이 있는 만큼 대손비용 충당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28일 금융위원회는 은행권에 올해 6월 말까지 순이익의 20% 이내로 배당할 것을 권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각 은행이 예년보다 배당을 줄이고 손실흡수 능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는 게 금융위 측 설명이다.
은행권 속내는 복잡하다. 당국의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주주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국내 은행의 배당성향은 2019년 기준으로 평균 24.3%로 집계된다. 4대 은행지주만 따로 보면 우리금융이 27%로 가장 높았고, 신한·KB·하나금융은 26% 수준으로 나타났다. 최소 6~7%포인트 낮은 규모의 배당을 책정해야 하는 셈이다.
배당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신한금융이다. 신한금융의 2019년 배당액은 8839억원이다. 지난해 신한금융의 연간 순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3조5274억원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배당금은 최대 7055억원이다. 1년 만에 배당금이 1800억원 가까이 줄어드는 것이다.
KB금융은 콘퍼런스콜을 통해 "올해에는 작년 수준의 배당 성향은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신한금융은 오는 3월 주주총회에서 정관 변경을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정관 상 중간배당은 1년에 한차례 할 수 있는데, 코로나19 종식을 전제로 분기별로 1년에 최대 네 차례까지 배당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당국의 주장과 달리 배당을 줄이더라도 은행 자본력에 끼치는 영향은 미약할 것이란 반박도 나온다. NH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4대 은행지주가 배당 성향을 30%로 늘릴 경우 자기자본비율(BIS)은 최소 0.04%포인트에서 최대 0.07%포인트 감소했다. 반대로 배당 성향을 금융위의 주장과 권고 수준인 20%로 제한할 경우 BIS는 최소 0.03% 포인트에서 0.08% 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정치권의 이익공유제 논의도 은행권의 고민을 깊게 만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금융권이 이자 부담을 경감하거나 불가피한 경우 이자 수취를 중단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익공유제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그러나 은행권은 "정부 정책에 호응해 대출 원금과 이자를 유예한 규모만 110조원이 넘는다"며 반발하는 분위기다.
다만 금융권 일각에서는 "시중은행들이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꼬집기도 한다. 특히 은행권이 올해 200% 수준의 성과급을 임직원에게 지급하는 등 내부 분배에 지나치게 신경쓰는 모습이 사회적 반감을 산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올해 일부 기업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종료로 대출 부실화를 겪을 위험도 있다는 지적이 있는 만큼 대손비용 충당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