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어린이들은 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 격리보다 자택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는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최은화 교수팀이 지난해 8월부터 11월까지 0∼18세(중간값 4세) 어린이 53명의 서울 소재 시설격리 사례를 분석해 이런 결론을 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어린이들의 증상 발현부터 격리시설 진입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고 임상적 경과를 분석해 시설 격리의 유용성을 평가했다. 또 격리시설 내 코로나19 감염 어린이로부터 비(非)감염 보호자로의 감염 확산 가능성을 파악했다.
연구 결과 유증상 어린이들의 총 유증상 일수 144일 중 109일(76%)은 격리시설 입소 시점 전에 해당했다. 입소 이후 어린이들의 임상적 경과에도 눈에 띄는 점이 없었다.
유증상 어린이 약 39%(16명)는 격리시설에 들어가기 전 이틀 이상의 시간을 집에서 가족과 함께 보냈다. 또 격리시설 내 마스크를 쓰고 손 세정을 철저히 한 비(非)감염 보호자 15명은 아무도 감염되지 않았다. 이들은 아이들을 돌보는 데 있어 어려움 때문에 가운, 장갑, 고글 등 보호장구를 착용하지는 않았다.
현재 국내 코로나19 정책은 증상이나 나이와 관계없이 모든 감염자를 지정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의 지정된 시설에 격리하는데, 연구팀은 엄청나게 많은 의료 및 인적 자원이 대체로 코로나19를 저절로 극복하는 아이들에게 투입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가벼운 코로나19에 감염된 아이들은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보호자와 함께 안전하게 집에 머무르는 것을 제안했다.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